이미선 기상청장이 17일 국회에서 올여름 강원 강릉 지역에 발생한 극심한 가뭄에 대한 기상청의 예측 실패를 공식 인정하며 개선 의지를 밝혔습니다.
17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기상청 국정감사에 참석한 이 청장은 강릉 가뭄 전망 실패 지적에 대해 "예측 실패를 인정한다. 기상청에서 가뭄 대응이 부족했던 게 사실"이라고 답변했습니다.
강릉 지역은 올여름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재난 사태까지 선포된 바 있습니다.
이 청장은 강릉 가뭄 예측의 구체적인 문제점을 설명하며 "강릉 가뭄은 4, 5, 6월 예측이 다 틀렸다"며 "3개월 전망에 대한 전국 강수량 예측은 대체로 맞았는데, 강릉 부분은 틀렸다"고 지역별 예측의 한계를 인정했습니다.
특히 이번 강릉 가뭄의 특성에 대해 이 청장은 "저희는 6개월 동안의 누적 강수량을 기반으로 현재 가뭄을 판단하는데, (강릉 가뭄은) 단시간에 발생하는 '돌발 가뭄'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돌발 가뭄'은 일반적인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가뭄과 달리 폭염 등으로 토양 속 수분이 빠르게 메마르며 단시간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이 '강릉의 돌발 가뭄 발생 사실을 행정안전부에 알린 사실이 있느냐'고 질의하자, 이 청장은 "행안부에 알리지 못했다. 돌발 가뭄의 원인과 내용을 저희가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던 부분이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기상청이 행안부에 돌발 가뭄 발생 사실을 알리지 못한 배경에는 돌발 가뭄 감시·예측 시스템이 아직 구축되지 못한 상황이 있습니다.
돌발 가뭄에 대한 연구는 2021년부터 시작됐지만, 연구과제 예산이 2021년 5억원에서 작년 윤석열 정부에서 2억원으로 삭감되면서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다행히 올해 예산은 4억원으로 복구된 상태입니다.
이 청장은 향후 계획에 대해 "내년 시범 운영을 하고, 성능 비교를 통해 (시스템을) 국가적으로 실효성 있게 개선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3개월 강수량을 기반으로 하는 지수도 만들려 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