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억 원 블록버스터 '전지적 독자 시점', 원작 팬과 일반 관객 사이 평가 엇갈려
이달 말 영화계에서 가장 뜨거운 화제작으로 떠오른 '전지적 독자 시점'(감독 김병우)이 관객들 사이에서 극명하게 나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약 300억 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이 대형 블록버스터는 지난 23일 개봉 이후 원작 팬들과 일반 관객 사이에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이 작품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면서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안효섭)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이민호)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분투하는 판타지 어드벤처를 그리고 있습니다.
안효섭, 이민호를 비롯해 채수빈, 신승호, 나나, 지수 등 젊은 스타들이 대거 출연해 개봉 전부터 큰 기대를 모았습니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싱숑 작가의 동명 웹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입니다. 이 웹소설은 문피아 플랫폼에서 2억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누적 판매 1위를 차지한 메가 IP로 자리매김했는데요. 웹툰, TV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믹스로 확장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특히 이 작품은 '성좌물'이라 불리는 웹소설 장르의 시초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성좌물'은 세계관 속에 '성좌'라 불리는 초월적 존재가 등장하는 작품들을 일컫는 용어로, '전지적 독자 시점' 이후 웹소설계에서 인기 있는 설정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신과함께' 시리즈로 천만 관객을 두 번 동원한 제작사 리얼라이즈 픽쳐스의 제작과 '더 테러 라이브'로 호평받은 김병우 감독의 연출로 화려한 볼거리가 기대됐던 이 영화는 개봉 후 관객들의 엇갈린 평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원작 팬과 일반 관객, 극명하게 나뉜 평가
인기 원작을 영화화한다는 것은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전지적 독자 시점' 역시 원작 팬들과 일반 관객 사이에 평가가 크게 갈리고 있는데요. 원작을 읽은 팬들은 영화화 과정에서 각색된 내용이 원작의 매력을 축소했다며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원작과 다르게 구현된 부분들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어요. 반면, 원작을 접하지 않은 관객들의 반응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입니다.
이들은 한국 영화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신선한 판타지 세계관과 게임을 보는 듯한 박진감 넘치는 전개를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우들의 연기력도 호평을 받고 있어, 블록버스터 영화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시각차는 '전지적 독자 시점'이 처음부터 안고 있던 리스크였습니다. 원작 팬들의 평가는 영화에 대한 초기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과거 사례를 보면 희망이 없지는 않습니다.
같은 제작사의 '신과 함께' 시리즈도 원작과 다른 설정으로 초반 비판을 받았으나, 강력한 드라마를 바탕으로 결국 흥행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현재의 시장 환경은 당시와 다르지만, '전지적 독자 시점' 역시 영화만의 미덕을 인정받고 있어 앞으로의 흥행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