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위험군, 기초생활수급자가 44%... 50~60대 중장년 남성 취약
고독사 사망자 중 절반에 가까운 44.3%가 기초생활수급자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5일 보건복지부가 의뢰하고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수행한 '고독사 주요 사례 심층 연구를 통한 원인분석 및 예방체계 구축'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국가의 보호를 받던 기초생활수급자들이 고독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고독사 사망자의 50~60%가 50~60대 중장년 남성이라는 사실입니다. 이들은 실직, 사업 실패, 이혼 등 갑작스러운 삶의 위기 이후 사회와 단절되며 고독사 위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뉴스1
중장년 남성들은 도움을 요청하는 데 익숙하지 않아 스스로 고립을 자초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고독사, 1인 가구만의 문제가 아닌 '기능적 고독사' 현상도 심각
연구보고서는 가족과 함께 살아도 고독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치매 등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노부모를 돌보던 자녀가 먼저 세상을 떠나면서 부모가 방치되어 사망하는 '기능적 고독사'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1인 가구가 아니라는 이유로 복지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실정입니다.
청년층의 고독사 문제도 심각한 상황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고독사의 대부분은 학업과 취업 스트레스, 불안정한 가정환경, 정신건강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회의 출발선에서 좌절을 겪은 청년들이 고립을 선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심리·정서적 지원과 안정적인 사회 진입을 돕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제안했습니다.
보고서는 "고독사는 개인의 책임이 아닌 우리 사회 전체의 책임"이라며 "방 안에 갇힌 이웃에게 손 내밀어 줄 사회 체계를 만드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무거운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