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출신 인재 영입 이어 고연봉 채용 공세... 북미 팹리스 겨냥한 총력전
삼성전자가 미국 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영업조직을 대대적으로 강화하며 글로벌 수주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TSMC 출신 고위 임원을 영입한 데 이어, 최근에는 디렉터(부장급) 직군에 기본 연봉만 최대 32만달러(한화 약 4억5000만원)를 제시하며 경력직 채용에 나섰다.
사진=인사이트
미국 실리콘밸리 연봉 수준을 감안하더라도 파격적인 조건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현지 영업조직 대대적 개편... 연봉만 최대 5억5000만원
23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법인(SSI)은 최근 공식 채용 웹사이트를 통해 파운드리 부문 영업 및 엔지니어링 인력을 공개 모집하고 있다. 모집 직무 세 개 가운데 두 개가 영업 중심 직무이며, 나머지 한 개는 고객 품질관리를 맡는 엔지니어링 시니어 매니저급이다.
디렉터 직급은 기본 연봉 최대 31만9800달러, 시니어 매니저는 최대 28만9050달러로 명시돼 있다. 여기에 성과급을 포함하면 연봉은 최대 40만달러(약 5억5000만원)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고소득세율을 감안하더라도 실수령액은 국내 본사 같은 직급 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뉴스1
TSMC 출신 부사장 영입... 엔비디아·퀄컴 등 美 고객사 공략
삼성전자가 이처럼 미국 현지 인력 확보에 속도를 내는 배경에는 북미 팹리스 고객사 유치라는 과제가 자리하고 있다. 지난 3월, 삼성전자는 TSMC 출신의 마가렛 한 부사장을 미국 파운드리 영업 총괄로 영입했다. 엔비디아, 퀄컴 등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 설계업체와의 거래 확대가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파운드리 신공장을 2026년 말~2027년 상반기 가동한다는 목표 아래, 본격적인 고객사 확보전에 돌입한 상태다.
AI 수요 기반 ASIC 시장 확대... 2나노 수율 향상도 긍정 신호
최근 브로드컴, 마벨 등 미국 팹리스가 주도하는 인공지능(AI) 전용 반도체, 특히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시장의 급성장도 삼성전자의 영업조직 확대 배경으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마켓리서치퓨처에 따르면, ASIC 시장은 올해 231억달러에서 2034년 478억달러로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최첨단 2나노미터(nm) 공정 수율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수주전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한진만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이 거의 매달 미국을 방문해 고객사와 직접 미팅을 갖고 있다"며 "대형 고객사 유치를 위한 배수의 진을 친 셈"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