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6호' 또 발사 지연됐다
국내 기술진이 독자 개발한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6호'의 발사 시점이 내년 초로 또 한 번 연기됐다.
지난 16일 우주항공청은 최근 유럽 우주 발사체 기업 아리안스페이스로부터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6호의 발사 일정이 내년 1분기로 미뤄질 것이라는 통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아리랑 6호 상상도 / 사진 제공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아리랑 6호'는 가로·세로 50cm 크기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서브미터급 고해상도 위성으로, 기상 재난 감시 및 군사적 감시 임무 수행을 목적으로 개발됐다.
앞서 아리랑 6호는 지난 2022년 러시아 앙가라 발사체를 활용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발사가 한차례 미뤄졌다.
이후 우리 정부는 유럽 발사 서비스 제공 업체인 아리안스페이스와 새 계약을 체결했으나, 아리안스페이스 발사체의 결함 문제로 2023년 12월, 2024년 12월, 올해 하반기 등으로 발사 일정이 계속 연기됐다.
우주항공청 / 뉴스1
아리랑 6호에 들어간 총 개발비용은 3700억 원 상당이나, 발사 일정이 계속해서 지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국내 발사체인 '누리호' 개량사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누리호의 신뢰성 확보와 능력 강화를 통해 해외 발사체 의존도를 낮춰 우주 개발과 관련된 예산 낭비를 하루빨리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주항공청 관계자는 "아리랑 6호와 함께 실릴 예정이던 이탈리아 우주청의 고해상도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플라티노-1' 개발이 지연되면서 일정이 늦춰졌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