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8일(월)

'스투시' 80% 할인한다는 싸이트, 혹시 클릭하셨나요?... '사기' 당하셨습니다

SNS 광고로 유인하는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사기 급증


유명 패션 브랜드를 사칭한 가짜 사이트가 소비자들을 속이는 사례가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인사이트사칭 홈페이지 화면 예시 / 서울시


27일 서울시는 소셜미디어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을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사이트로 유인한 뒤, 상품 결제 후 물품을 발송하지 않고 사이트 운영을 중단하는 사기 수법이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 7개월간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사기 사이트 관련 피해상담은 150건에 달했으며, 피해 금액은 1천90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사기 수법은 주로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같은 SNS 광고를 통해 사칭 사이트로 소비자를 유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스투시'나 '아식스' 같은 유명 브랜드의 가짜 사이트가 공식 홈페이지와 외관이 매우 유사하게 제작되어 소비자들이 진위를 구별하기 어려워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인사이트사칭 홈페이지 화면 예시 / 서울시


사칭 사이트 구별법과 피해 대응 방안


서울시는 사칭 사이트를 구별하는 방법으로 도메인 확장자를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을 권고했다.


정상적인 브랜드 사이트는 대부분 '.com'과 같은 일반적인 도메인 확장자를 사용하는 반면, 사칭 사이트는 '.top', '.shop' 등 비정상적인 확장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칭 사이트들은 대부분 해외 서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해도 사이트 접속 차단 등의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Bing Image Creator


이에 서울시는 피해 발생 시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에게 즉시 접속 차단을 요청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정부에 제도 개선을 제안할 계획이다.


소비자들은 의심스러운 사이트에서 구매할 경우, 상품 페이지와 주문·결제 내역 등 화면을 캡처해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제일로부터 2주 이내에 상품이 배송되지 않을 경우, 신용카드사에 이의를 제기하면 조정 절차를 거쳐 구제받을 수 있다.


유사한 피해를 입은 시민들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상담을 신청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