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주자들 '통합 해법' 제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들이 '통합'이라는 과제 앞에서 저마다 다른 해법을 내놨다.
지난 25일 TV조선이 주관한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자 초청토론회에서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는 우리 사회의 정치 갈등 문제를 지적하며 차기 대통령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국회에 와보니 국회의원들끼리 편이 다르면 말을 하지 않는다"며 "왜 그렇게까지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언급했다. 이어 "대통령이라는 존재의 본질적인 책임은 통합"이라며 "국론이 분열되지 않도록 이해관계를 잘 조정해, 힘을 하나로 모아야 국가도 발전하고 국민도 기회를 제대로 누릴 수 있다"고 했다.
뉴스1
특히 정치보복과 관련해서는 강한 어조로 입장을 밝혔다. 이 전 대표는 "그래서는 안 된다"고 단언하며 "사람이 좋아서가 아니라 짧은 시간에 우리가 할 일이 얼마나 많은데 그런 일로 시간 낭비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정치로 사람들이 행복해할 때 행복하다"면서도 "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심이 많고 약속을 해도 이해를 안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가 아무리 (정치보복을 안 한다고) 약속을 해도 말을 이해를 안 하고, 의심을 계속한다"고 토로했다.
이 전 대표는 "국민들은 힘들고 경제는 망가지고 평화는 위협받고 있어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작은 차이를 넘어 서로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타협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뉴스1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통합 문제의 해법으로 '정치 구조 개혁'을 제시했다. 그는 "정치가 승자독식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며 "이번에 권력을 잡지 않으면 정치적으로 망가진다는 위기감이 정치권에 팽배해 있다"고 짚었다. 이어 "선거제도를 포함해 승자독식 구조를 바꾸고, 어떤 사안이든 여야가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다만 그는 "내란세력과는 공존이 어렵다"며 "내란세력을 법적으로 처벌하는 것을 정치보복이라고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민주당 자체의 태도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지금의 헌법과 선거 제도가 승자독식과 적대 관계를 낳고 있다"며 "개헌과 선거법 개정이 꼭 필요하다"고 했다. 김 지사는 "상대에게만 통합을 요구할 게 아니라 민주당부터 성찰하고 기득권을 내려놓으며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며 "신뢰 자산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