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인천국제공항을 이륙한 지 2시간 만에 조종석 앞 유리창 균열로 회항한 대한항공 KE 671편. 붉은 원 안이 파손된 유리창./ 더 팩트 독자 제보
[인사이트] 최민서 기자 = 인천국제공항을 이륙한 대한항공 비행기가 비행 2시간 만에 조종석 유리창 균열로 회항했다.
29일 더팩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40분경 인천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행 대한항공 KE 671편은 기내방송을 통해 "기체 결함으로 회항한다"는 말과 함께 인천국제공항으로 돌아왔다.
당시 사고 비행기에 탑승했던 승객 200여 명은 회항하는 2시간 동안 불안에 떨었으나 큰 사고 없이 인천공항에 안착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사고 여객기인 KE 671편은 보잉 787기로 2-4-2 좌석 배열로 278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다.
2시간 동안 불안에 시달린 탑승객들은 이후 인천공항 대합실에서 1시간 30분여 동안을 더 기다린 뒤 같은 기종의 대체 비행기를 타고 오후 10시께 다시 쿠알라룸푸르로 향했다.
이날 사고 사실을 제보한 한 탑승객은 "처음에는 기체결함이라고 해서 그런가 보다고 생각했는데 갈수록 불안감이 들었다"며 "공항에 내려서 원인을 물어보니 조정석 앞 유리에 균열이 생겼다고 해서 더 놀랐다. 원인은 모른다고 했다. 이건 승객의 목숨을 담보로 한 항공사 측의 안전 불감증 아니냐"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이에 대한항공 측은 "유리창 정비 문제로 인천공항으로 회항했다"며 사고 사실을 인정했다.
이어 "탑승객은 인천공항에서 동일 기종 항공기로 갈아탔고, 기내식과 승무원 교체 등으로 회항 후 5시간 20분이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 8월에도 인천공항에서 승객 400명을 태운 KE081편(A380)이 이륙 30분 뒤에 랜딩기어(착륙장치)의 문제를 발견해 회항한 바 있다.
또한 대한항공 A330 항공기는 지난해 7월, 10월, 12월 세 차례 엔진 이상으로 비상 착륙 및 회항했으며 올해 4월에도 기체 결함이 발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