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 = 인사이트
[인사이트] 강유정 기자 = "이때 이런 영화가 인기였지"
그동안 인상적이었던 영화를 다시 한번 기억하기 위해, 오랜 세월이 흐른 후 추억을 다시금 꺼내보기 위해 영화 전단지를 모으는 취미를 가진 영화 팬들이 꽤 많았다.
그런데 최근 영화관에서 이런 영화 전단지를 찾아볼 수 없게 됐다.
환경부 고시인 '1회용품 사용규제 관련 업무처리 지침' 때문이다.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영화관 내 전단지 거치대에 영화 전단지 대신 공지문이 붙어있는 사진이 올라오면서 누리꾼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공개된 사진은 메가박스에서 촬영된 것으로 전단지 거치대에 '환경부 지침에 의하여, 메가박스 내 전단지 게첨 종료 안내'라는 공지문이 붙어있는 모습이다.
해당 공지문을 통해 영화관 측은 "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 10조 및 「1회용품 사용규제 관련 업무처리 지침」 환경부예규 제601호 관련하여, 영화관 운영업은 1회용 광고물 및 선전물의 제작-배포 억제 등 사용억제(사용금지) 대상 업종에 해당되었습니다.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라고 전했다.
환경부 고시에 따르면 종이에 합성수지를 분사해 종이 표면에 막을 형성시키거나 합성 수지필름을 붙인 광고 전단지로 고객배포용 광고 전단지, 카탈로그 등 단순 광고 목적의 1회용 광고 선전물은 규제 대상에 해당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 = 인사이트
영화관 매표소 옆에는 늘 영화 전단지들이 꽂혀 있었다.
A4 용지 크기의 종이 한 장에는 영화 포스터, 출연배우들부터 줄거리, 주목할 장면 등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었다.
이런 영화 전단지는 영화를 홍보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 중 하나였다.
영화관에 방문한 이들은 이 전단지를 보고 볼 영화를 선택하기도 했으며 영화를 보기 전 미리 알아둬야 할 정보를 숙지하는 관객들도 있었다.
온라인을 통해 영화 정보를 확인하는 시대가 되다 보니, 영화 전단지의 중요성은 점차 작아져 갔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 / 뉴스1
하지만 전단지를 수집하는 이들도 많았기에 아쉬운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누리꾼들은 "환경을 생각하는 것도 좋지만 갑자기 영화 전단지를 없애버린다는 것은 너무 과하다", "어쩐지 영화관에 전단지가 없더라니", "영화 홍보도 못하게 하는 건 너무한 것 아닌가", "전단지 모으는 게 유일한 취미였는데"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 누리꾼은 "휴대전화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어르신들은 전단지를 통해 영화 정보를 얻고는 하는데 이제 그분들은 어떻게 하나"라고 우려하거나, "플라스틱 빨대는 괜찮고 영화전단지는 환경파괴라니 이해할 수 없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