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올해 수능이 끝나고도 어김없이 수험생 민원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21일 수능 부정행위로 적발된 한 수험생의 학부모가 감독관이 근무하는 학교에 직접 찾아가 피케팅 시위를 벌였다.
23일 조희연 서울시 교육청 교육감은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조 교육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감독관의 신원을 개인적으로 확보해 협박하고 학교 앞에서 피케팅을 하는 행위는 매우 잘못된 이의 제기 방법"이라며 글을 남겼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어 "수능 감독 선생님을 위협하는 불법적인 행위에 고발 조치를 포함하여 단호히 대처하겠다"라고 밝혔다.
실제 매년 수능이 끝난 뒤 감독관으로 입회했던 교사들 상당수가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다.
'수험장에서 일어난 일 때문에 우리 아이가 시험을 망쳤다'는 학부모 민원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실제 수능이 끝난 후 '감독관 기지개 켜는 소리에 시험을 망쳤다', '종이 넘기는 소리가 너무 크다' 등 다소 황당한 민원도 이어진다는 전언이다.
이에 대해 서울교사노동조합 측은 "현재 교육부에서 만들어 나눠주는 수능 감독관 메뉴얼에도 학부모로부터 공격받을 경우에 대한 내용은 따로 없다"며 "그런 일이 발생했을 때 교육부, 교육청에서 신속하게 대응해서 법대로 처리를 해줘야 한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