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시장 내부 / 사진=인사이트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청년들 사이에서 광장시장 붐이 일고 있다.
해외 관광객 사이에서 인기몰이를 한 게 유행의 시작이었다. 이후 레트로 감성을 느끼기 위해 종로구 광장시장을 찾는 내국인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상인의 바가지 행태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일각에서는 소래포구 바가지 논란이 떠오른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최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을 찾은 소비자들의 불만 섞인 후기가 이어지고 있다.
YouTube '희철리즘Heechulism'
"어묵 꼬치 하나에 1500원이더라", "계좌이체를 한다고 해도 현금결제를 하라고 눈치를 준다", "1인분 떡볶이 양을 보고 깜짝 놀랐다. 떡이 몇 개 없었다", "모둠전 가격에 비해 양이 너무 적다" 등 불만 섞인 목소리를 SNS상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최근 한 여행 유튜버는 베트남 지인들과 광장시장을 찾아 15,000원짜리 모둠전을 주문했다가 8~9개뿐인 적은 양을 보고 깜짝 놀라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광장시장 전경 / 사진=인사이트
일부 상인들의 행태에 정직하게 장사하는 다수의 상인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논란이 확산되자 광장시장 상인회는 문제 가게에 10일간 영업정지 처분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