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8일(금)

아이큐 70~85 사이 '경계선 지능인' 699만명 추정..."이런 행동 특성 보인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지능지수(IQ)가 71~84로 평균보다 낮지만 장애 판정을 받지는 못하는 경계성 지능인이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계선 지능'으로 구분되는 아이큐는 통상 71부터 84까지로, 지적장애 지능지수 기준은 70 이하지만 이보다 1이라도 높으면 지적장애 판정을 받지 못한다.


지적장애 판정은 받지 못하지만 평균 지능에는 미치지 못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계성 지능인들이 법적,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회입법조사처의 '경계선 지능인 현황과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IQ 정규분포도에 따른 경계선 지능인은 전체 인구의 약 13.6%로 약 699만명으로 추정된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경계선 지능인이 진단과 치료를 빠르게 받지 못하고 성인기에 접어들면 구직에 어려움을 겪고, 직업활동에서 부적응으로 인해 지속 근로가 힘든 경우가 다반사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경계선 지능'에 대한 정부 차원의 조사나 통계조차 없는 실정이다.


일본은 전반적인 지적 발달이 괜찮아도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특별교육과정을 편성하며, 독일은 경계선 지능인 개개인에게 특화된 직업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이에 우리 국회에도 올해 경계선 지능 관련 4건의 법안이 발의되는 등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Korea 


복지부에서는 돌봄 종사자가 1년간 최대 50회 인지학습과 사회성, 정서, 자립 등에 관련된 서비스와 학업을 지원하는 서비스가 있으며, 전국 지자체에서도 경계성 지능을 지원하는 조례가 제정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6월 전국 최초로 경계선 지능인 대상 평생교육 지원센터를 개관했으며, 경기도는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하려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세종시는 최근 관련 조례가 의회를 통과했고, 대전시와 충남도에서는 '경계선 지능' 지원의 필요성이 각각 의회에서 제기된 상황이다.


한편 경계선 지능인은 또 다른 말로 '느린 학습자'라고 불린다.


느린학습자는 다각도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교과 수업을 잘 따라가지 못하고, 정서발달 지연으로 안정감을 느끼지 못하거나 감정 조절이 어려우며, 사회적 습득 기술이 부족해 친구관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등의 특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