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8일(금)

'주52시간제' 틀 유지, 일부 업종·직종은 완화 추진

인사이트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이유리 기자 = 정부가 근로시간 개편과 관련해 현행 '주 52시간제'의 틀을 유지하되 일부 업종과 직종에 한해 근로시간 제도 개편을 추진한다.

 

제조업, 생산직 등에 한해 '주 최대 60시간 이내' 한도로 완화하는 안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고용노동부는 지난 6부터 8월까지 국민 60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시간 관련 대면 설문조사의 결과와 이를 반영한 제도 개편 방향을 발표했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조사 결과를 전폭 수용해 주 52시간제를 유지하면서 일부 업종·직종에 한해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추진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지난 3월 연장근로 단위를 현행 '주'에서 '월·분기·반기·연' 등으로 유연화하는 제도 개편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주 최대 근로시간이 69시간까지 늘어나는 데 대한 '공짜 야근' 논란이 불거지자 재검토에 들어갔다.


인사이트뉴스1 


정부의 이번 정책 방향은 3월의 '전체 유연화'에서 '일부 업종·직종 유연화'로 한발 물러섰다. 

노동부는 근로자 3839명, 사업주 976명, 국민 1215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 결과 현행 주 52시간제(기본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가 상당 부분 정착됐지만 일부 업종과 직종에서는 애로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근로자 41.4%, 사업주 38.2%, 국민 46.4%가 연장근로 단위를 확대해 "바쁠 때 더 일하고 그렇지 않을 때 적게 일해 연장 근로시간을 주 평균 12시간 이하로 하는 방안"에 대해 동의했다.


이를 일부 업종·직종에 적용하자는 데 대해선 동의율(근로자 43.0%, 사업주 47.5%, 국민 54.4%)이 더 올라갔다.


인사이트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설문 응답자들은 연장근로 단위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업종으로 '제조업'을 꼽았다. 직종으론 '설치·장비·생산직'을 가장 많이 꼽았다.


주당 최대 근로시간 한도로는 근로자 75.3%, 사업주 74.7%가 주60시간 이내를 택했다.


노동부는 설문 결과를 반영해 일부 업종과 직종에 대해 노사가 원하는 경우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보완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시간 근로와 노동자 건강권에 대한 우려를 불러온 만큼 설문 결과를 반영해 주당 상한 근로시간 설정, 근로일 간 최소 휴식 도입 등의 안전장치도 마련한다.


이 차관은 정부가 근로시간제 개편을 일방적으로 추진하지 않겠다고 강조하면서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것인 만큼, 경영단체는 물론 노동단체도 참여해 실질적 논의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