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이유리 기자= 부모님 스마트폰 잠금패턴이 'ㄱ·ㄴ'과 알파벳 'L·N·Z'를 쓰고 있다면 당장 바꿔드려야 하겠다.
연령대가 높은 휴대폰 이용자들이 휴대전화 패턴을 단순하게 설정한다는 점을 노린 범죄가 발생했다.
9일 연합뉴스TV 등 보도에 따르면 40대 남성 A씨는 진주지역 사우나 6곳을 돌며 4500만원 상당의 현금과 휴대전화 등을 훔친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
A씨는 지난 9월 말부터 이달 초까지 진주의 한 사우나 탈의실에서 옷장을 드라이버로 강제 개방 후 휴대전화와 신용카드 등을 훔쳤다.
목욕탕을 빠져나온 A씨는 대다수가 휴대전화 잠금 패턴을 'ㄱ' 'ㄴ', 알파벳 'Z' 'N' 등 단순하게 구성한 것을 이용한다는 점을 노렸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A씨는 훔친 휴대전화의 잠금 패턴을 풀고 신용카드사에 연락해 "비밀번호를 잊었다"며 초기화를 요구했다. 이후 현금 인출기에서 현금을 인출하고 신용대출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과거에도 목욕탕 옷장 절도로 옥살이를 하다가 지난 2월 출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경찰 조사에서 A씨는 "훔친 현금은 생활비와 도박비로 사용했다"라고 진술했다.
경찰은 "휴대폰 잠금 패턴은 쉽게 풀 수 없는 것으로 설정하고 휴대폰에 신분증과 카드를 같이 보관하는 일은 가급적 피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