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0일(수)

백신 맞은 아버지 사망했다는 피해자 눈물에 정은경 청장이 한 말

인사이트정은경 질병관리청장 / 뉴스1


[인사이트] 조세진 기자 = "부작용 책임진다던 약속을 지켜주세요"


지난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으로 고통받는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의 절규가 이어졌다.


이들은 백신을 접종한 후 가족이 사망했거나 중태에 빠졌다고 호소하면서 정부가 백신과 이상 반응 간의 인과성을 더 폭넓게 인정해 피해를 보상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부 측은 미흡한 점을 인정하면서 추후 환자 입장에서 지원책을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사이트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 국정감사에 출석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뉴스1


인사이트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A씨는 지난 8월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받은 아버지가 이튿날 심정지 상태에 빠진 뒤 사망했다며 "많은 사람이 접종 후 짧은 시간 내 상태가 악화해 사망한다. 연관성이 없다고 당당히 주장할 수 있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책임 있는 국가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부작용을 책임진다던 약속을 지키라"며 "관련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하면 인정해주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후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진단을 받았다는 B씨도 "인과성 인정이 안 된다는 A4용지 한 장으로는 납득하기 어렵다"며 "무슨 근거로 인과성이 없다고 하느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몸과 마음이 무너졌다. 한 달 약값만 100만원으로 경제적 부담도 심하다"라며 "부작용을 책임진다던 정부는 '나 몰라라'한다"고 토로했다.


인사이트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또 C씨는 부인이 화이자 백신 2차 접종 5일 후 심근염 진단을 받았고, 심장 이식 수술까지 받아 생업을 제쳐두고 간병에 매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부인이 심장 쪽으론 (기저질환이) 하나도 없었다. 그런데 질병청에서 인과성을 부정하는 안내문을 달랑 한 장 받았다"면서 "집사람과 같은 병으로 배상받은 분이 한 분 있는데, 우린 안됐다. 왜 그런 건지 자세히 밝히지도 않았고, 보고서도 못 보여준다고 했다"고 말했다.


참고인들의 호소를 들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국민의 입장에서 필요한 부분을 잘 설명하고 공감하는 부분이 많이 부족했다"며 "앞으로 어떤 이상 반응이 생길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인과성의 범위를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도 "그간의 대응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을 개선하고 정부 내에서 여러 지원 방안을 같이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기준 백신접종 이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 21만 5501건 가운데, 보상이 결정된 사례는 0.66%인 1793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사망 및 중증 신고 총 1586건(사망 678건, 중증 908건) 중 0.4%인 7건(사망 2건, 중증 5건)에 대해서만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