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없는 자료사진 / 대한민국 구석구석
[인사이트] 윤혜경 기자 = 구워 먹으면 탱글탱글한 식감은 물론 맛까지 일품인 새우의 계절이 돌아왔다.
제철 맞은 새우를 마음껏 즐기기 위해 소위 '새우 마니아'로 불리는 이들이 곳곳에서 열리는 새우 축제를 갈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새우를 자칫 잘못 섭취하면 치사율이 50%에 달하는 '비브리오 패혈증'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요구된다.
올여름 '사상 최악의 폭염'에 따른 고수온 현상이 계속되면서 '비브리오균'이 식품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기사와 관련없는 자료사진 / gettyimagesBank
비브리오균은 일반적으로 수온이 15도 이상 올라가는 5월부터 생기며, 20도 이상이 되면 증식하기 시작한다.
또 해수 온도 21도가 넘어가면 불과 4시간 여만에 균이 100만 배로 늘어난다.
더구나 올해 한반도 해수 온도가 28도가 넘는 고수온 현상이 한 달가량 지속된 만큼 새우, 조개 등의 어패류나 수산물이 비브리오균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비브리오균의 종류는 '장염 비브리오균'과 '비브리오 패혈증균' 2가지로 나뉜다.
기사와 관련없는 자료사진 / 뉴스1
2가지 종류 모두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거나 제대로 익혀 먹지 않으면 감염된다.
'장염 비브리오균'에 감염된 경우에는 복통과 함께 하루 5차례 이상의 설사와 구토 증상이 나타난다. 대개 2~3일 지나면 회복된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문제가 좀 심각하다. 치사율이 50% 이상인 해당 균에 감염됐을 경우에는 오한, 발열 등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과 설사, 하지 통증 등 다양한 피부 병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기사와 관련없는 자료사진 / gettyimagesBank
특히 간 질환자, 알코올중독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가 비브리오 패혈증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며, 패혈성 쇼크까지 올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30일 질병관리본부(질본)에 따르면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28명 발생했으며, 그중 3명이 사망했다.
이에 질본은 "지난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 환자 중 75.8%가 어패류를 섭취했다"며 "어패류는 85도 이상의 고온에서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고 당부의 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