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내년 국회의원 총선부터 수개표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전자개표 뒤 사람이 직접 투표용지를 한 장씩 손으로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는 것이다.
26일 선관위 관계자에 따르면 선관위는 전자개표기(투표지 분류기)가 투표지를 제대로 분류하지 못해 부정선거 의혹이 불거지는 상황을 막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강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현재도 투표지 분류기 통과 이후 심사 계수기를 통해 일일이 확인하고는 있지만, 중간 단계에서 육 안심사 과정을 한 번 더 추가하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심사 계수기는 투표지 매수 확인(계수)와 투표지 날인 여부 확인(유·무효 확인)을 동시에 처리하는 개표 장비다.
심사 계수기는 투표지를 분당 150매 속도로 한 장씩 떨어뜨리면서 매수를 세면 개표 사무원이 이때 떨어지는 투표지를 눈으로 보고 투표지가 정상 투표지인지, 제대로 분류됐는지 확인한다.
해당 관계자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와 관련해 선거 과정에 대한 대국민 신뢰를 제고하기 위하여 투·개표관리절차 개선방안 등을 검토 중으로 현재 확정된 사안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앞서 선관위는 지난달 국민의힘 공정선거제도개선 특별위원회에 이 같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선관위는 2020년 21대 총선 당시 전자개표기를 거친 무효표가 유효표로 분류되는 영상 등이 퍼지며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부정선거 의혹이 일었고 지금까지 의혹이 지속되자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