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나 남자친구의 점심 도시락을 싸주는 여성 유튜버들이 등장하는 가운데, 일각에선 이른바 '시종'이라는 비판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가부장제 체제 선전에 앞장선다'며 거세게 비난했다.
13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지난 8월 시민 A씨가 한 인터넷 신문에 기고한 '남편 점심 만들기 유튜브, 뭐가 문제냐면요'라는 글이 재조명됐다.
해당 글에서 A씨는 "'예랑이 점심' 콘텐츠 속 '자발적 사랑'과 '행복한 부부' 너머에는 다른 맥락이 숨어 있다"며 "부부의 사적인 사랑도 사회 구조 안에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아침 7시에 집을 나서는 남편에 맞춰 새벽 5시에 일어나 냉장고 문을 열고 각종 제철 음식으로 채운 도시락은 사실 익히 봐왔던 '가부장제'의 단면이다"면서 문제를 꼬집었다.
그는 "남성은 일과 존중, 여성은 요리와 정성이라는 단어로 애정을 표현하는 게 이상적인 부부 모델로 굳어진다면 사람들의 인식 속에 가부장제가 회귀할 것이다"며 "천사 혹은 참된 아내라는 말이 칭찬이 되는 상황에서 누군가는 이 채널을 보고 살뜰히 내조하지 못하는 자신을 탓하게 되지 않을까. 요리 실력에 대한 감탄이 좋은 아내 프레임에 여성을 가두고 내조하지 못하는 여성에게 죄의식을 주는 것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A씨는 맞벌이하는 여성이 남편의 도시락을 싸주는 콘텐츠에 더욱 격렬한 반응이 일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그는 "'동일 노동, 동일 임금'이 여성 노동권의 표어가 되는 현실에서 맞벌이 여성 배우자의 도시락이란 초과 노동의 초과 노동이라는 생각 때문"이라며 "결국 여성의 밥상을 받는 남성이 최고라는 말, 결혼해서 '큰아기·큰아들'이 되는 남성은 언제나 돌봄과 가정일에 무지해도 된다는 시그널이 유튜브를 통해 침투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A씨의 글이 공개된 뒤 일부 온라인에서는 언급됐던 유튜버를 향한 비난이 쏟아졌다.
한 여성 전용 커뮤니티에서는 "혼자서 시종 짓 하고 살아라", "밥 해주는 노예 자체", "무식한 애들은 백날 말해도 모른다. 시종을 자처한다", "가부장제 체제 선전에 앞장선다" 등으로 비판했다.
반면 일각에선 "새벽 6시든 밤 6시든 서로 간에 합의가 됐다면 괜찮은 것 아니냐", "일방적으로 시킨다면 문제겠지만 사랑하는 마음에서 도시락을 싸주는 게 왜 문제가 되냐", "유튜버 부부의 상황을 알지도 못하면서 비하하는 것은 오지랖"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