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전유진 기자 = "지진이 나면 무조건 '롯데월드타워'로 대피하라"
롯데월드타워는 잠실에 우뚝 솟아있는 대한민국 최고층 건물이자 세계에서 5번째로 높은 건물로 이름났다.
지난 2020년 영면한 롯데 창업주 고 신격호 회장이 한국의 국격을 높이겠단 집념으로 세운 롯데월드타워는 국내 최대 규모의 랜드마크로 당당히 자리 잡았다.
신 회장의 꿈이었던 만큼 롯데월드타워는 무엇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설계됐다. 그 덕에 "지진이 나면 무조건 롯데월드로 대피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안정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신 회장은 생전 그의 회고록을 통해 "진도 9도의 강진과 초속 80m의 바람에도 견디도록 했다. '앞으로 지진이 나면 무조건 롯데월드타워로 대피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라며 자부심을 드러낸 바 있다.
공간의 효율성 보다 구조적 안전성에 최우선을 두고 설계된 롯데월드 타워는 한국지진공학회 테스트 검증을 통해 진도9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됐다.
'코어월'(Corewall)이라고 불리며 건물의 뼈대 역할을 하는 8개의 벽체와 '아웃리거'(Outrigger), '벨트트러스'(Belt Truss)가 40층마다 세 군데 설치됐다.
이들은 횡적 저항을 높여 탄성은 유지하면서 흔들림은 최소화하는 효과를 이뤄낸다. 즉 123층 높이임에도 불구하고 20~50층 높이의 아파트보다 흔들림이 덜한 셈이다.
실제로 지난 2017년 11월 전국이 흔들렸던 규모 5.4의 포항지진 당시 롯데월드타워선 흔들림을 거의 느끼지 못했다는 관계자의 증언도 나타난 바 있다.
전문가에 따르면 당시 롯데월드타워 내 지진계측기는 1이하의 수치를 나타냈다. 이마저도 지진계에선 탐지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동을 느끼지 못하는 수준이다.
한편 롯데월드타워에는 국내 최초로 벙커만큼 견고한 피난안전구역이 20층마다 총 5개소로 나뉘어 설치됐다. 이는 30층마다 피난 안전구역을 설치해야 하는 국내 법적 기준보다도 높은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