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유진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평택 물류창고 화재 진압 과정에서 순직한 소방관들의 영결식에 참석했다.
이날 별도의 의전 없이 영결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추도사 없이 뒷자리에 앉아 눈물을 닦았다.
청와대가 제공한 사진에는 고개를 숙인 채 눈물을 훔치는 문 대통령의 모습이 담겼다.
지난 8일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페이스북을 통해 문 대통령의 영결식 참석 뒷이야기를 전했다.
탁 비서관은 문 대통령이 영결식 당일 새벽에 참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라기보다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 가는 것이니 별도의 의전이나 형식을 갖추려 말고 영결식 참석자 이상으로 준비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탁 비서관이 "조사(弔辭)는 어떻게 하겠느냐"고 묻자 문 대통령은 "조사 없이 그저 순서가 허락하면 헌하와 분향 정도로(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탁 비서관은 문 대통령이 영결식장에서 별도의 소개 없이 열의 뒷자리에 서서 운구와 유족들을 맞이했다고 전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그렇게 모든 식순의 마지막에서야 일어나서 홀로 분향하고 유족들에게 다가가 인사를 드렸다. 그리고 운구 행렬의 뒤를 따르는 유족들과 함께 나란히 걸음을 옮기시면서 세 분 소방관의 마지막을 함께하셨다"고 설명했다.
탁 비서관은 "조사 한마디 하지 않으신 그 두 시간 동안 대통령은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는 모르겠으나 내려쓰지도 않은 마스크를 자꾸 밀어 올리며 눈물을 찍어내던 모습을 나는 조용히 보았다. 영구차가 떠나기 전 이십여 분 동안 순직 소방관들의 동료들과 함께 겨울 바람 맞으며 서 계신 대통령의 모습이, 나는 추웠다"고 적었다.
앞서 지난 5일 발생한 평택 냉동창고 신축 공사장 화재 진압 과정에서 고(故) 이형석 소방경, 박수동 소방장, 조우창 소방교 등 송탄소방서 119 구조대 소속 소방관 3명이 숨졌다.
정부는 고인들에게 각각 1계급 특진과 옥조근정훈장을 추서했다. 고인들의 유해는 영결식을 마친 뒤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