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조세진 기자 = 코로나19의 뚜렷한 진정세를 보이고 있는 대만의 방역 체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지난 5월 중순 이래 코로나19가 급속히 퍼졌던 대만에서 해외 유입을 제외한 신규 확진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1일 대만의 신규 확진자는 모두 해외 유입 확진자로 10명이 발병했으며,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 이날 대만 본토 신규환자는 '0명'을 기록했다.
중앙통신과 연합보(聯合報), 중국시보(中國時報)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책본부인 중앙유행병 지휘센터는 이날 감염자가 대만에서는 없고 외국에서 10명이 유입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5월 셋째 주 대만의 주간 확진자 수는 3390명으로 4360명이었던 한국과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7개월 뒤인 현재 대만이 지역 감역 확진자 0명을 기록한 지난 21일 국내에서는 5,202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해외 유입과 연구원 감염 등을 제외한 대만 지역 내 확산세는 사실상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방역 성공 요인으로는 무엇보다 '짧고 굵은 방역'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라이칭더 대만 부총통은 지난 10월 미국 하버드대 학생 대상 강연에서 대만 방역의 비결로 선제 조치와 빠른 대응, 투명성, 스마트방역 등을 언급하며 정부와 민간의 자원을 통합한 공동 방역을 구현했다고 밝힌 바 있다.
대만은 지난 5월 15일 방역 경보를 3단계로 격상하고 전국적으로 새로운 대응조치를 시행했다.
구체적으로 대만은 대만인을 제외하고는 입국과 공항 환승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또 코로나19 백신 도입 과정에서도 민관이 힘을 합쳐 총력전을 펼치기도 했다.
서비스 업종의 경우는 종업원 수를 고려해서 공평하게 지원금을 지급했으며, 유흥시설 운영 금지와 함께 요식업소는 테이크아웃만 허용했다. 상점과 대형마트 통제도 강화했다. 이 같은 조치는 7월 26일까지 이어졌다.
특히 해당 조치가 이어지는 동안 대만은 국민 소통에 주력하는 등 신뢰를 바탕으로 한 체계로 이목을 집중시켰다.
현재 대만은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 비자 발급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 백신 정책에 있어 학교, 요양원 등 30개 업종 종사자는 2차 백신까지 완료하지 않을 경우 65만 원 상당의 벌금도 부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