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김천시에서 개최된 '2025 김천김밥축제'가 예상을 뛰어넘는 관광객 몰림으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주말 이틀간 진행된 축제에는 김천시 전체 인구보다 많은 15만명의 방문객이 몰려들며 지역 전체가 축제 열기로 뜨거워졌습니다.
김천시는 26일 발표에 따르면 축제 첫날에만 8만명, 둘째 날에도 7만명이 행사장을 찾았다고 집계했습니다. 이는 지난 8월 기준 김천시 인구 13만4537명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김밥축제의 폭발적인 인기를 실감케 했습니다. 축제장인 김천시 직지사문화공원과 사명대사 공원 일대는 연일 인산인해를 이뤘으며, 지역 상권 역시 큰 활기를 띠었습니다.
관광객 집중으로 인한 교통 혼잡이 심각해지자 김천시는 둘째 날 오전 두 차례, 오후 한 차례에 걸쳐 '김밥축제 인파 및 교통혼잡 예상, 일반차량 행사장 진입 통제' 안전안내문자를 시민들에게 발송했습니다.
뉴스1
작년 첫 개최 당시 이틀간 10만명이 방문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50% 증가한 수치입니다. 김천시는 올해도 작년과 비슷한 10만명 정도가 방문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첫날 오전부터 예상을 뛰어넘는 관광객이 몰리면서 김밥 품절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시는 부스별 김밥 구매를 1인당 4줄로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김밥 판매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선보인 김밥 캐릭터 인형, 키링, 젓가락 등 각종 굿즈에도 방문객들의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인기 굿즈들은 판매 시작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전량 매진되었으며, 구매를 위해 1시간 이상 대기해야 하는 '굿즈 대란' 현상까지 벌어졌습니다.
축제 참가자들은 김천시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대기 줄과 통행하는 줄이 엉망이긴 해도 작년보다는 행사 여건이 많이 나아졌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셔틀버스 대기 줄이 숨 막히게 길다. 경유지는 버스를 타지도 못하고 기다리고 있다", "교통지옥이다. 축제일을 더 늘려서 수요를 분산해야 한다"는 개선 요구사항도 나왔습니다.
이번 축제에서는 지역 업체의 김밥은 물론 김천김밥쿡킹대회에서 우승한 '호두 마요 제육 김밥'을 비롯해 전국 프랜차이즈 김밥과 외국인들에게 익숙한 냉동 김밥 등 총 50여 가지의 다양한 김밥이 준비되었습니다.
SNS 캡처
김천시는 관광 트렌드를 주도하는 MZ(밀레니얼+Z)세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김천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김밥천국'이라는 답변이 나온 것을 계기로 김밥 축제를 기획하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축제 개최에 앞서 김천시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으로 의심되는 물질이 발견된 바 있어, 시는 축제장 방문 관람객의 안전을 위해 음용수와 조리용수 모두 생수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