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0·15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새로운 규제가 시행되기 전 매수 수요가 집중되면서 아파트 가격이 사상 최대 폭으로 상승한 것인데요.
지난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10월 셋째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50% 상승했습니다.
이는 2012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주간 기준으로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한 것입니다. 이전 최고 기록은 2018년 9월 3일 집계된 0.47%였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둘째 주 가격 상승률은 0.54%를 기록했는데, 이는 추석연휴로 인해 2주치 변동분이 한꺼번에 반영된 결과였습니다. 이를 고려할 때 셋째주 0.50% 상승은 실질적으로 주간 최대 상승폭으로 평가됩니다.
서울 지역별로 살펴보면 광진구가 1.29%로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으며, 성동구 1.25%, 강동구 1.12% 순으로 높은 오름폭을 나타냈습니다.
경기도의 경우 성남시 분당구가 1.78%의 급등세를 기록했고, 과천시도 1.48% 상승하며 큰 폭의 가격 상승을 보였습니다.
다만 경기도 전체로는 평택시가 -0.17%, 이천시가 -0.14% 하락하는 등 일부 지역에서 하락세가 나타나 전체적으로는 0.16% 상승에 그쳤습니다.
정부는 10·15 부동산대책을 통해 서울 전역과 경기 남부 12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16일부터는 해당 지역의 대출 한도가 대폭 축소되었고, 20일부터는 지자체 허가를 받아 2년간 실거주할 경우에만 매매가 가능하도록 규제가 강화되었습니다.
규제 시행 전 급매수 현상이 나타나면서 기존 최고가보다 1~2억원씩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사례들이 속출했습니다. 새로운 규제가 적용되기 전 서둘러 부동산을 매입하려는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이러한 급등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