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독도 해역에서 동물성 플랑크톤인 요각류 신종 2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견은 올해 진행된 '독도 주변 해역 중형저서동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계에 보고될 예정입니다.
요각류는 게나 새우와 같은 갑각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바다를 비롯해 이끼 틈 등 물이 있는 거의 모든 환경에서 서식합니다.
독도 / 뉴스1
노를 젓는 다리가 있다는 의미의 '요각'이라는 이름처럼 헤엄치기에 적합한 형태의 다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개체 수가 풍부해 어류의 주요 먹이원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들의 몸 길이는 1~4㎜로 매우 작아 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하며, 현재 국내에는 약 1200여 종이 보고된 상태입니다.
연구진은 지난달 초 독도 주변의 암초와 모래 퇴적물에서 이번 신종 2종의 서식을 확인했습니다.
발견된 두 종은 모두 절지동물의 한 종류인 갈고리노벌레목에 속합니다.
독도 자생 요각류 신종 2종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생물 분류체계는 과→속→종의 순서로 계층화되어 있는데, 이 중 한 종은 기존 분류체계에는 없던 새로운 '과'로 제안할 수 있는 새 분류군입니다.
나머지 한 종 역시 장군여왕노벌레과 내에서 새로운 '속'으로 제안될 만큼 뚜렷한 형태적 특징을 지닌 신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고립된 화산섬인 독도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한 요각류 신분류군 신종이 발견되는 것은 우리나라 생물의 기원과 분포를 밝히는 섬생물지리학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번 신종 2종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내년 상반기 안으로 국제 학술지에 투고할 계획입니다. 또한 정식 게재를 통해 해당 신종의 신과와 신속을 제안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