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령층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300만 명을 돌파하며 전체 비정규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뉴스1
지난 2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년 동기 대비 11만 명 증가한 856만 8,000명을 기록했습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2년 연속 증가하며,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정규직 근로자는 1,384만 5,000명으로 16만 명 늘었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모두 증가하면서 전체 임금근로자 2,241만 3,000명 중 비정규직 비중은 38.2%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 비정규직 근로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304만 4,000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23만 3,000명 늘어난 수치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
특히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300만 명을 돌파한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년 대비 2.3%포인트 상승한 35.5%로 3분의 1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세분화하면 70세 이상 비정규직이 120만 5,000명으로 40대(120만 4,000명)와 비슷한 규모입니다. 반면 40대(-10만 6,000명), 20대 이하(-5만 8,000명), 50대(-2만 5,000명)는 감소했습니다.
고령층 비정규직 증가는 우리 사회의 고령화 진행과 함께 은퇴 후에도 경제활동을 이어가려는 고령자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업(+21만 명), 운수창고업(+3만 9,000명)은 증가한 반면, 숙박·음식업(-5만 8,000명), 건설업(-5만 1,000명), 도소매업(-4만 1,000명)은 감소했습니다. 내수 부진과 경기 둔화로 민간 서비스업의 고용 여건이 악화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전체 비정규직의 57.4%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임금 격차도 확대됐습니다. 비정규직의 최근 3개월(6~8월) 월평균 임금은 208만 8,000원으로 지난해보다 4만 원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7만 7,000원 늘어난 389만 6,000원을 기록했습니다. 시간제를 제외한 비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303만 7,000원으로 2004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