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교육부가 55만여 명의 수험생들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종합적인 지원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지난 21일 교육부는 국무회의에서 2026학년도 수능 당일 안정적 시행을 위한 지원 대책을 보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수능은 다음 달 1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5분까지 일반 수험생 기준으로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동시에 실시됩니다. 올해 응시자 수는 55만 4174명으로 지난해 대비 3만 1504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교통 혼잡으로 인한 수험생 지각 방지를 위해 관공서와 기업체의 출근 시간을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하는 조치가 시행됩니다. 수험생들의 등교 시간대인 오전 6시부터 8시 10분까지는 수도권 지하철 운행 횟수를 대폭 늘리고, 경찰서 등 행정기관에서는 비상 수송차량을 수험생 이동 경로에 배치하여 교통편의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시험장 200m 전방부터는 차량 출입이 전면 통제되어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지점에서 하차 후 도보로 이동해야 합니다.
시험 진행 중에는 철저한 소음 차단 대책이 적용됩니다. 특히 3교시 영어 듣기평가 시간인 오후 1시 10분부터 1시 35분까지는 항공기와 헬리콥터 이착륙을 제한하고, 군사 훈련과 포 사격도 일시 중단됩니다. 교육부는 이 시간 외에도 시험장 주변 버스와 열차의 서행 운행 및 경적 자제, 공사장과 행사장의 소음 최소화를 당부했습니다.
기상 악화나 자연재해 대비책도 마련되었습니다. 수험생들은 다음 달 7일부터 기상청 누리집을 통해 시험장별 날씨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시도교육청은 도서·벽지 지역 수험생 수송 대책과 제설 계획을 수립하고, 이달 13일부터 31일까지 전체 시험장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합니다.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정보 전달 체계도 구축됩니다.
문답지 보안 강화를 위해 교육부는 경찰청, 시도교육청과 합동으로 경비 체계를 강화하고, 모든 시험지구에 중앙협력관을 파견하여 관리 지원에 나선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수험생들이 갈고닦은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모든 부처가 협력해 지원할 것"이라며 "수험생 여러분은 건강을 잘 챙기며 편안한 마음으로 시험 준비에 임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