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아열대 해역에서 서식하는 청색꽃게가 제주도 연안에서 빈번하게 목격되면서 해양 생태계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청색꽃게는 본래 동남아시아 아열대 바다에서 주로 서식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제주도 부근 해역에서 이들의 출현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해 들어 청색꽃게의 출현 빈도가 특히 높아지면서 단순히 드문드문 발견되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청색꽃게 / Youtube '까망형'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청색꽃게 목격담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이 종의 제주 해역 정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청색꽃게는 독특한 푸른빛 색깔로 인해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낯선 모습을 보여주지만, 식용이 가능한 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맛의 경우 우리나라 전통 꽃게와 큰 차이가 없어 일부에서는 새로운 수산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단순히 긍정적으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아열대 지방 서식종인 청색꽃게가 제주 해역에 정착할 정도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했다는 것은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청색꽃게의 토착화가 진행될 경우 기존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Pixabay
새로운 종의 유입은 기존 생태계 균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생태학적 파급효과는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해양생물학자들은 청색꽃게의 개체수 변화와 서식 패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