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등 혐의로 서울남부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지난 2023년 9월 12일 휴궁일에 경복궁에 방문해 국보 223호 근정전 내 어좌에 앉았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는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진행된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는데요. 이날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기헌, 양문석 의원은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을 상대로 김 여사의 어좌 착석 여부와 관련해 집중적으로 질의를 이어갔습니다.
정용석 사장은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하며 최응천 당시 문화재청장, 경복궁 관리소장과 함께 김 여사의 경복궁 방문을 직접 수행한 인물입니다.
김건희 여사 / 뉴스1
그는 처음에는 "정확한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답변을 회피했으나, 의원들의 거듭된 추궁 끝에 김 여사가 실제로 어좌에 앉았으며, 이를 권한 인물이 동행했던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었다고 시인했습니다.
근정전은 조선왕조의 법전으로 사용된 곳으로, 중앙에 위치한 어좌는 임금만이 앉을 수 있는 신성한 의자입니다.
어좌 뒤편에는 해와 달, 다섯 개의 봉우리, 소나무, 폭포, 파도 등이 그려진 '일월오봉도'가 배치되어 있어 왕권의 상징성을 나타냅니다.
이기헌 의원이 확보한 경복궁 2023년 9월 12일 상황일지에 따르면, 김 여사는 오후 1시 35분 협생문을 통해 경복궁에 입장했습니다.
이배용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 뉴스1
김 여사는 근정전을 첫 번째로 방문한 후 경회루와 흥복전을 차례로 둘러봤으며, 오후 3시 26분까지 약 2시간 동안 경복궁에 머물렀습니다.
해당 날짜는 화요일로 일반인 관람이 금지된 휴궁일이었으며, 김 여사는 상황일지에 'VIP'로 표기되어 있었습니다.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드러난 김건희 여사의 어좌 착석 사실은 문화재 보존과 예의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특히 휴궁일 비공개 방문과 국보급 문화재에 대한 부적절한 행동이 동시에 확인되면서 관련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근정전 어좌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