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20일 국가유산청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에서 중대한 고고학적 발견을 이뤄냈다고 발표했습니다.
황남동 고분군 내 120호 고분 하부에서 발견된 '황남동 1호 목곽묘'에서 신라 장수로 추정되는 유골과 함께 금동관 일부가 출토되어 학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황남동 1호 목곽묘'는 적석목곽분보다 앞선 시기에 조성된 무덤으로 확인되어, 신라 고분 양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발굴 현장(경주 황남동 1호 목곽묘)에서 출토된 갑옷과 투구 배치 상태 / 경주시
또한 사람과 말의 갑옷 및 투구 일체가 완전한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신라에서 가장 오래된 금동관 조각과 30세 안팎 남성 장수의 유골, 그리고 순장된 시종의 유골이 함께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말의 갑옷인 마갑이 출토되어 쪽샘지구 C10호분에 이어 두 번째 발견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발굴을 통해 5세기 전후 신라의 군사력과 중장기병의 실체를 엿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발굴 관계자들에 따르면, 무덤 주인은 치아 분석 결과 30세 안팎의 남성 장수로 추정됩니다. 동반 발견된 인골은 그를 보좌하던 시종으로 보입니다.
발굴된 현장과 출토 유물들은 APEC 정상회의 기간인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신라월성연구센터에서 일반인들에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이번 발굴은 신라 고분 형식의 변화와 초기 국가 체제의 위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장수 갑옷 명칭도(경주 황남동 1호 목곽묘’에서 출토된 인물형 갑옷(인갑)의 복원도 / 경주시
주낙영 경주시장도 "APEC 정상회의를 맞아 신라왕경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세계인에게 선보이게 됐다"며 "유적의 보존과 공개가 조화를 이루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