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1500만 시대, 소변 처리 논란 확산
아스팔트와 기둥에 선명하게 남은 소변자국을 보면서 불쾌감을 드러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KB금융그룹이 발표한 '2025년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려동물 인구가 15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국민 10명 중 3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고 있으며 이 중 반려견 수는 546만마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려견 인구가 급증하면서 펫티켓(반려동물 예절)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밀집된 도심 환경에서는 반려인과 비반려인 간의 갈등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사람들의 일상에도 반려인과 반려동물이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각종 민원과 불만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2022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접수된 반려동물 관련 민원 3만6813건을 분석한 결과 2025년 월평균 민원은 1741건으로 2024년 901건 대비 거의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대변과 달리 애매한 소변 처리 의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현행법상 반려견이 야외에서 대변을 볼 경우 보호자가 이를 처리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대변은 오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반드시 치워야 하며 이는 이미 많은 반려인들 사이에서 상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소변의 경우는 상황이 다릅니다.
실내 공간이나 야외 의자 등 특정 공공구역을 제외하면 소변을 처리해야 할 법적 의무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현재 법령은 공동주택의 내부 공용 공간과 평상, 의자 등 사람이 눕거나 앉을 수 있는 기구 위 등 일부 특정 공간에서만 소변을 금지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러한 법적 애매함 속에서 반려견 소변으로 인한 민원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냄새가 올라와 불편했다", "아스팔트에 선명하게 남은 자국이 보기 좋지 않았다" 등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
환경 오염 우려도 제기
일부에서는 '나무나 풀숲은 자연이니 괜찮지 않느냐'는 시각을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반려견 소변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반려견 소변에는 고농도의 질소가 함유되어 있어 특정 위치에 반복적으로 높은 함량이 노출될 경우 질소 과다로 인한 수목 고사와 토양 오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지하수의 미세 오염원 역할을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소변의 주요 오염물질인 질소와 암모니아 등은 지하수로 스며들어 '질산염' 형태로 축적됩니다.
질산염의 일부는 토양 미생물 등에 의해 정화되지만 일부는 지하수에 함유되어 마시는 물의 수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실적 대안 모색 중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
국내 다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반려동물 전용 소변기를 설치하는 등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설들이 반려견의 행동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려견은 소변을 한 지점에 집중적으로 누지 않고 일정 구간을 지나며 소변을 보는 본성을 가지고 있어 전용 소변기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매너워터' 확산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매너워터는 반려견 산책 시 물을 지참하고 소변을 본 자리에 물을 뿌려 성분을 희석하도록 하는 일종의 캠페인을 의미합니다.
전문가들은 반려인과 반려동물에 대한 인정과 동물권 존중에 대한 인식 및 요구가 커지는 만큼 펫티켓에 대한 반려인들의 인식도 점차 변화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펫티켓 문화가 정착해 나가는 과정에서 반려인과 비반려인 사이의 갈등을 줄이는 것이 관건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