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진드기병' SFTS 사망자 400명 넘었지만 예방 예산은 전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일명 '살인 진드기병'의 누적 사망자가 400명을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예방을 위한 예산이 전혀 배정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지난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부산 사하을)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치명률이 18.2%에 달하는 SFTS로 인한 누적 사망자가 406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러나 올해 농식품부 총예산 18조7천416억원 중 SFTS 예방이나 참진드기 방제, 농업인 맞춤형 교육을 위한 예산은 단 한 푼도 책정되지 않았습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식품부가 농업인들의 SFTS 감염 경로와 시기 등 기초적인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농업인 직업병으로 볼 수 있는 SFTS, 대책 마련 시급
SFTS는 백신, 치료제도 없는데다 감염 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 사진=인사이트
질병관리청의 통계에 따르면, SFTS 감염 위험요인의 63%가 '밭일·임산물 채취' 등 농업 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환자의 84.4%가 60대 이상 고령층이어서, SFTS는 사실상 '고령층 농업인 직업병'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경태 의원은 "농민들이 살인 진드기의 타깃이 되는 동안 주무 부처인 농식품부는 예방 예산은커녕 현황 파악조차 하지 않은 것은 직무유기"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는 "SFTS를 즉시 농업인 직업병으로 공식 인정하고, 진드기 기피제와 보호복 보급과 같은 실질적인 예방 대책과 예산을 즉각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