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월)

"댕댕이와 교감하면 안 늙는다"는 말, 진짜였다... 美 플로리다 대학 연구진의 놀라운 발견

반려견 훈련 프로그램, 여성 참전 군인의 세포 노화 억제 효과 입증


미국 연구진이 반려견과의 상호작용이 여성의 생물학적 노화 과정을 늦출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지난 14일 플로리다 애틀랜틱대 간호대학 체릴 크라우스-파렐로 교수 연구팀은 보조견 훈련 프로그램이 여성 참전 군인들의 세포 노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행동과학(Behavioural Sciences)' 최신호에 발표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


이번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앓고 있는 여성 참전 군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실제 보조견을 돌보고 훈련하는 과정이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비약물적 개입'의 생리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습니다.


32세부터 72세까지의 여성 군인들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습니다.


한 그룹은 8주간 매주 1시간씩 보조견 훈련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했고 대조군은 훈련 영상만 시청했습니다.


텔로미어 길이 증가로 확인된 노화 억제 효과


image.png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연구진은 참가자들의 타액을 채취하여 텔로미어 길이를 측정하고 심박 변이도 분석을 통해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을 평가했습니다. 동시에 PTSD 증상, 불안감, 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심리 설문으로 측정했습니다.


연구 결과 보조견 훈련에 참여한 군인들의 텔로미어 길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말단을 보호하는 DNA 서열로 길이가 짧아질수록 세포 노화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반면 영상만 시청한 비교군은 텔로미어 길이가 짧아져 세포 노화가 가속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전투 경험이 있는 여성 군인의 경우 보조견 훈련 참여 후 텔로미어 길이 증가 폭이 더욱 컸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극단적 스트레스 요인인 전투 경험을 겪은 사람일수록, 반려동물과의 교감이 생리적 회복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기존 이미지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심리적 지표에서도 PTSD 증상, 불안감, 스트레스 인식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두 그룹 간 차이는 크지 않았는데 연구진은 "연구 참여 자체가 사회적 관심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여 치유적 효과를 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여성 참전 군인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가능성 제시


주저자인 체릴 크라우스-파렐로 교수(FAU 간호대학 부총장 겸 연구부문 부대표)는 "여성 참전 군인은 종종 간과되는 재적응 문제를 겪으며, 기존의 PTSD 치료법이 이들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크라우스-파렐로 교수는 "동물과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회복을 동시에 제공하며, 특히 여성에게 강력한 치유 효과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이 참가자들의 일상적 반려동물 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모든 참전 군인이 반려견을 돌볼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조견 훈련과 같은 동물 관련 자원봉사 활동이 유사한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이 단순한 봉사활동을 넘어, 긍정적 강화와 비언어적 교감 능력을 배우는 과정이 되며, 일상생활에서도 심리적 회복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입력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생성된 이미지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


크라우스-파렐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보조견 훈련이 여성 참전 군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회복시키는 새로운 비약물적 치료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향후 개인 맞춤형 치유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반려견과의 교감 시 옥시토신 분비가 증가하고, 코르티솔 수치가 낮아지는 현상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습니다.


옥시토신은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하고 면역기능 및 심혈관계 건강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입니다. 반면 코르티솔은 만성적으로 높을 경우 텔로미어 단축과 세포 노화 가속을 유발합니다.


이번 연구는 반려견과의 친밀한 접촉이 스트레스 생리학적 경로를 조절해 노화를 늦출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