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업데이트 논란, 완전한 롤백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이최근 논란이 된 카카오톡 업데이트와 관련해 중요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우 부사장은 "이전 버전으로의 완전한 롤백(복구)은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우 부사장은 "저희가 생각하는 롤백이라는 개념은 앱 2.0일 때 1.0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2.0에서 2.1 버전 등이 되는 개념"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또한 '광고 판매 수익 때문에 롤백을 못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광고 판매 수익은) 저희 고려 사항이 아니다"라고 명확히 답변했습니다.
카카오
카카오톡 업데이트로 인한 이용자 불만과 주가 하락
국정감사에서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카카오톡의 최근 업데이트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황 의원은 "카카오톡이 최근에 엄청 큰 업데이트를 했다. 이후 국민의 공분이 들끓고 있다"며 "저 또한 미성년자 자녀를 둔 학부모로서 너무 당황스럽다. 숏폼이 강제로 송출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황 의원은 "업데이트 한 번에 시가총액이 3조원이 날아갔다"고 언급하며 경제적 손실의 심각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더 황당한 건 이 사태를 주도한 홍민택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용자 비판을 입틀막 하려고 전광석화처럼 움직였다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황 의원은 카카오톡 업데이트가 이용자들에 대한 배신이자 주주들에게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하며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이에 우 부사장은 "일단 이용자들의 불편 사항과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해서 잘 알고 있고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조만간 개선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미성년자 보호와 향후 개선 계획
황 의원은 업데이트에 대한 사전 고지가 없었던 점과 미성년자들이 숏폼을 강제로 시청하게 되는 문제를 "디지털 공해를 넘어 테러 수준"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특히 "오픈 채팅방을 들어가려고 하면 숏폼을 강제로 시청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 부사장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만 14세 미만 이용자에 대해서는 맞춤형 광고 목적의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게 돼 있는데, 이 권고를 따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성인에 대해서는 비식별 행태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향후 활용할 계획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카카오 관계자는 "4분기 내 친구탭 첫 화면을 '친구목록'으로 되살리고, 피드형 게시물을 별도의 '소식' 메뉴로 제공하기로 한 것은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