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가맹업종 완화, 병·의원이 최대 수혜자로 나타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의 가맹업종 기준 완화 조치가 본래 취지와 다른 결과를 낳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병·의원이 전체 결제액의 76%를 차지하며 최대 수혜를 받았습니다.
10일 국회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온누리상품권 업종 기준이 완화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업종완화 신규 가맹점은 총 3,654개였으며, 이들의 결제금액은 457억 원에 달했습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병원·치과·한방이 1,777개 업체에서 348억 원의 결제액을 기록했고, 학원이 1,428개 업체에서 10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병·의원의 결제액 비중이 전체의 76%를 차지해 압도적인 수치를 보였습니다.
대구 중구 iM뱅크 중구청지점에서 열린 '추석맞이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구매 행사'에서 중구 관계자들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구매한 상품권을 펼쳐 보이고 있다. / 뉴스1
이 외에도 노래연습장 326개, 동물병원 73개 등이 신규 가맹점으로 등록됐습니다.
연간 10억 원 이상 결제한 병원만 5곳, 세종시 정형외과가 1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결제액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병원은 세종시에 위치한 A 정형외과로 연간 13억 1,300만 원의 결제액을 기록했습니다.
뒤를 이어 경기도 군포 B 치과가 10억 2,400만 원, 대전 서구 C 의원이 9억 9,500만 원, 서울 종로 D 의원이 9억 3,600만 원, 구로 E치과가 9억 3,500만 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은 본래 전국의 전통시장,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등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하지만 가맹업 기준을 완화하면서 이러한 지역에 위치한 일부 병원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 제도개선 목소리 높아져
중소벤처기업부는 A 정형외과에 대해 "일일 환자 250명 규모이며 물리치료 환자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중대형 규모의 병원에서 온누리상품권 고액 결제가 나오는 것은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재 온누리상품권 가맹 자격에 연매출 제한(30억 원 이하)을 두는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이지만 국회에서 계류 중인 상황입니다.
김원이 의원은 "도수 치료를 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큰 병원에서 수억 원 결제가 나오는 게 취지에 맞는지 의문입니다"며 "전통시장과 영세 소상공인 중심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