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1500만 시대, 사체 처리 현실은 '쓰레기' 취급
반려동물 1500만 시대, 가족같이 지내던 반려동물과 이별할 때 제대로 장례를 치뤄주지 못해 쓴울음을 삼키는 취약계층이 늘고 있습니다.
최소 20만원부터 100만원을 넘는 장례비용 부담 때문에 결국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사체를 넣어 버릴 수밖에 없었다는 사연들도 종종 전해지고 있는데요.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국가법령정보센터가 제공하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각 가정에서 자연사한 반려동물은 '생활폐기물'로 분류되며 땅에 매장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거나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 의료폐기물로 분류해 소각 처리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폐기물' 처리 현실
십수년을 가족같이 지내던 반려동물이 죽음 이후 '폐기물' 취급을 받는 현실은 많은 사람들에게 슬픔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민간 장묘업체를 통한 반려동물 화장 비용은 사체 무게에 따라 평균 20만~50만원 수준으로 조사됐습니다. 봉안당 보관, 운구 서비스 등을 포함하면 100만원을 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비용 부담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저소득층 반려인들은 사체를 쓰레기 봉투에 담아 내놓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지자체들의 반려동물 장례비 지원 정책 확산
최근 이같은 현실에 지자체들이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서울시를 비롯한 일부 지자체들은 반려동물 장례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화장비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
서울시는 2025년부터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에게 화장비 15만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성남시는 취약 가구를 기준으로 한 가구당 2마리까지 최대 20만원의 의료·장례비를 지원합니다.
울산시 북구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이동식 화장차를 도입해 각 가구에서 등록한 반려동물이 죽으면 1년간 무료 화장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반려인 A씨는 인사이트에 "반려동물의 사체를 쓰레기봉투에 처리하는 현실이 충격적이고 안타깝다"라며 "전국의 더 많은 지자체들이 지원을 늘리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 개선 움직임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또다른 반려인 B씨는 "가족처럼 지낸 반려동물을 생활폐기물로 처리하는 건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며 "장례비 지원 외에 다른 법적 차원에서 제도마련도 필요해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이러한 여론에 광주시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공공 반려동물 장묘시설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도 동물복지 증진 차원에서 반려동물이 폐기물로 버려지지 않도록 수목장, 이동식 장례(화장)서비스 제도화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