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외상센터 사망률, 최대 6배 차이... 환자 생사 갈리는 의료 불균형
추석 연휴 기간 고향이나 여행지에서 중증 외상을 입었을 때 이송되는 권역외상센터의 환자 사망률이 센터별로 최대 6배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환자가 어느 권역외상센터로 이송되느냐에 따라 생존 확률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6일 YTN의 보도에 따르면 국립중앙의료원이 제공한 자료를 보니 지난 5년 반 동안 전국 권역외상센터에 입원한 중증외상환자는 총 6만 6천여 명에 달했습니다. 이 중 7.6%의 환자들이 치료 중 사망하여 병원을 살아서 나가지 못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충북대병원의 경우 중증환자 사망률이 22%를 넘어, 10명 중 2명 이상이 사망하는 높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경상대병원과 안동병원도 17% 안팎의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습니다.
권역외상센터 간 의료 격차와 정책적 대안
반면, 아주대병원의 중증외상환자 사망률은 3.7%에 불과해 최고 사망률을 기록한 병원과 비교했을 때 약 6배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중증외상 환자의 생존율이 이송되는 의료기관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는 심각한 의료 불균형 문제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올해 초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어 인기를 끈 권역외상센터 배경의 드라마처럼 현실에서도 모든 환자가 '해피엔딩'을 맞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이 드라마는 외상을 입은 중증 환자들의 목숨을 구하는 의료진의 활약을 그려냈지만, 실제 의료 현장은 지역별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은 "수요에 맞는 적정 숫자의 권역외상센터에 대해서 집중 지원을 통해서 인력과 자원을 집중시키면 전반적인 사망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정부가 권역외상센터의 양적 확대에만 집중해 온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며, 인력과 병상, 재정 투입을 전면 재설계하여 국가가 책임지고 권역 간 중증외상환자 진료 역량을 균형 있게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