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협 발언에 드러난 남북 관계의 현주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 무장장비전시회에서 한 대남 위협 발언을 두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지난 5일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한국 영토가 결코 안전한 곳으로 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가 판단할 몫"이라고 발언했습니다.
또한 한미 핵 협의와 연합훈련을 "위험천만한 각본"이라고 규정하며 "한반도는 결코 안전한 영토가 될 수 없을 것"이라는 위협적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GettyimagesKorea
여야의 상반된 반응
이에 대한 여야의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화와 협력을 강조하는 온건한 입장을 취했습니다.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발언을 언급하며 "북한은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협력의 길에 동참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 뉴스1
특히 박 대변인은 "이재명 국민주권정부는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이 이어온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노력을 이어받아 평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안전을 위한 대화와 협력 제안에 긍정적으로 화답하길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어 "민주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손범규 국민의힘 대변인 / 뉴스1
반면 국민의힘은 강경 대응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손범규 국민의힘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김정은의 협박은 자신의 입지 강화와 남북 또는 북미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더 나아가 "김정은의 도발적 언행에 비해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은 허술하고 불안하다"며 정부의 대북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국민의힘은 특히 "이재명 대통령과 정동영 장관은 이미 한목소리로 '북핵 동결과 핵보유국 인정' 발언으로 국민들을 불안하게 했다"며 현 정부의 대북 접근법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중국과 북한에 대해서만 굴종적인 자세를 보이는 대통령"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하며 정부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향후 정부가 북한의 위협에 어떻게 대응할지, 그리고 여야의 대북 정책 논쟁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