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월)

금융노조, 주 4.5일제 요구 총파업 일주일 만에 '금요일 1시간 단축근무' 합의

금융노조, 사측과 '금요일 1시간 단축근무' 전격 합의


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사측과 금요일 1시간 단축근무 시행에 전격 합의했습니다. 지난달 26일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지 일주일 만에 이뤄진 결과입니다.


금융노조는 3일 전날(2일) 금융산업사용자협회와 산별중앙교섭을 통해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잠정 합의안에는 임금 3.1% 인상, 금요일 1시간 단축근무 시행, 2026년 4.5일제 논의 추진 등이 포함됐습니다.


현재 평일 영업점 근무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이지만, 금요일은 오후 3시까지 단축 운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노조는 구체적 시행 방식을 논의한 후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origin_거리로나선금융노조.jpg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6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 인근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서 주 4.5일제, 임금인상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9.26/뉴스1


노조 측은 "노사가 그동안 입장 차이를 보여왔던 노동시간 단축 문제를 이제는 공동의 목표로 삼게 됐다"며 "비록 이번 합의가 곧바로 주 4.5일제 도입은 아니지만, 이를 향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시행 시기와 방식에 쏠린 금융권 관심


금융권의 최대 관심사는 금요일 영업시간 단축의 구체적인 시행 시기와 방식입니다. 이는 금융소비자의 일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각 은행 지부별 노조는 이번 합의안을 토대로 사측과 추가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금융노조가 은행권 전체를 대표해 교섭을 진행한 만큼, 이번 합의는 '최소한의 기준선' 역할을 하게 될 전망입니다.


운영 방식은 지부별 논의에서 결정됩니다.


현재로선 평일 오전 9시~오후 4시 체계를 유지하면서 금요일만 오후 3시까지 단축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금요일 근무 시작 시간을 10시로 늦출 가능성도 있습니다.


시행 시기에 대해 금융노조 관계자는 "오는 13일 지부대표자 회의에서 합의 내용을 보고할 예정이며, 협약 조인 날짜는 노사 간 협의 중"이라며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당시 영업시간 단축 경험 있어


은행 영업시간 단축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인 2021년 7월, 수도권 은행들은 영업시간을 오전 9시~오후 4시에서 오전 9시 30분~오후 3시 30분으로 1시간 줄였고, 같은 해 10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한 바 있습니다.


이후 노조 측은 "국내 은행은 코로나19로 영업시간이 단축됐을 때도 이익을 내는 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며 노동시간 단축을 요구해 왔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영업시간 단축에 따른 비판 여론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평균 연봉이 1억2000만 원이 넘는 은행원들이 소비자 불편 해소 방안은 제시하지 않은 채 근무시간 단축만 요구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달 26일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며 벌인 총파업 역시 조합원과 소비자 모두의 공감을 얻지 못해 낮은 참여율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