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 주문했는데 기름덩어리와 미추리 받은 소비자 분노
한 소비자가 삼겹살 세트 메뉴를 주문했다가 예상과 전혀 다른 고기를 받고 당황한 사연이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 '가게에서 삼겹살을 시켰는데 이런 걸 받았을 때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게재됐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글쓴이 A씨는 700g짜리 세트 구성 중 하나인 삼겹살 300g을 세트 메뉴로 주문했는데, 실제로 받은 고기는 과지방과 미추리 부위가 섞여 있어 충격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A씨는 "단품으로 주문할 경우 150g에 1만 4900원이라는 점과 비교하면, 소비자로서는 가격 대비 품질이 정말 너무 아쉬웠다"며 당시 받은 고기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공개된 사진 속 삼겹살은 절반 이상이 기름으로만 구성된 비곗덩어리였고, 나머지 부분은 삼겹살이 아닌 미추리가 대부분 섞여 있었습니다.
소비자 "다른 손님에게 다시 제공했을 것" 우려 표명
기분이 상한 A씨는 해당 고기를 다시 돌려보냈지만, 함께 간 친구가 말을 잘 못하는 성격이라 당황하는 모습을 보며 더욱 안타까웠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A씨는 "내가 돌려보낸 고기는 그대로 또 다른 손님한테 다시 냈을 것 같다"며 "이런 고기를 받으면 여러분들은 어떻게 대응하시나"라고 물었습니다.
이 게시글에 대해 누리꾼들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한 누리꾼은 "마트에서 사면 원하는 부위 선택할 수 있고 가격도 합리적인데, 왜 굳이 이런 곳에서 바가지 쓰고 오느냐"고 지적했습니다.
다른 누리꾼들은 "두 개 섞어서 그냥 먹는다 해도, 미추리만 들어있으면 문제다", "하나는 지방이 과해서 상품성이 없고 그 옆 부위는 삼겹살이 아닌 삼겹 옆 부위다", "저건 바꿔주는 게 맞다. 두 번 다신 저 가게는 가지 말아야 한다", "가게 이름 공개해라"라며 해당 업장의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관광지 바가지 삼겹살 논란 지속, 지역 이미지 타격
최근 제주도와 울릉도 등 관광지에서도 '바가지 삼겹살' 논란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YouTube '꾸준 kkujun'
한 유튜버가 울릉도에서 지방이 많은 삼겹살이나 양이 적은 고기를 제공받은 영상을 공개하면서 '울릉도 관광 보이콧' 움직임까지 일어났고, 이에 울릉군수가 직접 사과문을 발표하며 고개를 숙이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제주도 역시 일부 식당에서 삼겹살 세트의 양과 품질이 가격 대비 터무니없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관광지 가격 논란과 맞물려 관광객 감소로 이어지는 등 심각한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현재까지도 '제주도=바가지'라는 인식이 고착화되어 버린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