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시장 연령 마지노선 하락, 취준생 나이 부담 증가
대졸 신입사원으로 입사할 수 있는 최대 나이가 지난해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29일 발표한 '2025년 대졸 신입사원의 적정 나이 및 마지노선 나이' 설문조사에 따르면, 신입사원의 입사할 수 있는 나이, 이른바 마지노선은 남성 32세, 여성 29.6세로 조사됐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지난해(남성 33세·여성 30.6세)보다 모두 1세씩 낮아졌습니다.
평균 적정 나이는 남성 30.4세, 여성 28.2세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0.4세, 0.3세 높아진 수치입니다.
적정 나이는 2023년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취업 준비 기간이 길어지고 직장 경력을 쌓은 후 다시 신입 채용에 지원하는 '중고 신입'이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적정 나이는 상승한 반면 마지노선 나이는 낮아진 상반된 결과는 취업시장에서 취준생들이 느끼는 나이에 대한 부담감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직장인 응답자들에게 최근 입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나이를 물었을 때, 남성은 31.9세, 여성은 29.5세로 나타났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나이와 채용의 상관관계에 대한 인식
'신입사원 나이가 채용 합격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81.7%가 '영향이 크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20·30대(85.5%, 87.0%)가 40·50대(76.6%, 73.9%)보다 이 문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러나 신입사원 나이 마지노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1.6%가 '불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나이와 업무 능력은 상관없다'(38.6%)가 꼽혔습니다.
반면 마지노선이 필요하다고 답한 28.4%는 '기존 직원들이 불편해서'(38.2%), '동기들과 어울리지 못할 것 같아서'(20.1%), '취업이 늦어 보이는 인상이 있어서'(13.6%) 등의 이유를 들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기업 규모별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중소기업(42.0%)과 중견기업(50.5%)은 30대 직원이 가장 많았고, 대기업(53.7%)과 공공기관(47.6%)은 4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인크루트 회원 701명을 대상으로 9월 12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 표본오차는 ±3.50%p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