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월)

국민들이 원하는 노후 생활비 월 350만원인데... 실제 준비는 '이만큼' 부족했다

노후 생활비 현실과 이상의 격차


우리나라 국민들이 노후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월 생활비와 실제 준비 가능한 금액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지난 28일 공개한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들은 은퇴 후 월 350만원의 적정 생활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 중 66% 수준인 230만원만 마련할 수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기존 이미지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번 보고서는 올해 5월 30일부터 6월 18일까지 전국 25~74세 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는데요.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노후에 기본적인 의식주 해결만을 위한 최소 생활비로 월 248만원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여기에 여행이나 여가 활동, 손자녀 용돈 등 삶의 질을 높이는 지출까지 고려한 적정 생활비는 월 350만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023년 같은 조사와 비교했을 때 최소 생활비는 3만원, 적정 생활비는 19만원이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응답자들이 실제로 마련할 수 있다고 예상한 노후 생활비는 월 230만원에 불과해, 적정 생활비와 비교하면 120만원이나 부족한 상황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노후 준비의 현실적 어려움


노후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국민연금이 88.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금융소득(50.2%), 근로소득(47.5%), 개인연금(47.8%), 퇴직연금(42.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2,401명의 응답자들은 평균 65세에 퇴직하기를 희망했지만, 이미 은퇴한 503명의 실제 퇴직 나이는 평균 56세로 나타났습니다. 


경제적 노후 준비를 시작하는 평균 나이는 48세로 조사되었는데요. 


GettyImages-jv12509114.jpg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보유한 집을 담보로 매월 노후 생활자금을 받는 주택연금 제도를 활용할 의향이 있거나 이미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3.3%였습니다.


반면 '활용 의사가 없다'는 응답은 33.0%, '생각해 본 적도 없다'는 응답은 33.6%로, 주택연금에 대한 인식과 활용 의향은 세 그룹으로 고르게 나뉘었습니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2,716명의 응답자들은 노후 거주지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 의료시설을 꼽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교통, 공원 등 자연환경, 마트 등 쇼핑 시설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