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1년 전 이미 경고 있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리튬이온 배터리팩에 대해 이미 1년 전 위험 신호가 감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9일 SBS의 보도에 따르면 불이 난 배터리를 점검했던 내역서에는 화재 발생 전 배터리 교체 권고와 온도 이상 경고가 명시되어 있었으나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SBS
내역서의 내용을 보면, 지난해 6월 27일 LG CNS는 배터리 점검 업체와 함께 점검을 진행했습니다.
'이상 방전이나 하자 처리가 6개월간 없었다'고 되어 있었지만, 해당 배터리팩들에 대한 두 가지 중요한 지적 사항이 있었습니다.
2014년 8월에 설치된 배터리가 사용 연한 10년을 경과했으므로 교체가 필요하다는 권고와, 일부 배터리팩에서 충전 시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이 확인됐다는 것입니다.
뉴스1
화재 위험 신호를 놓친 관리 부실
점검 내역서는 "일부 전압 차로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배터리팩 온도 편차의 발생을 확인했다"고 명시했습니다. 이는 충전 과정에서 온도가 방전 때보다 비정상적으로 상승했다는 의미로, 사실상 화재 위험을 경고하는 신호였습니다.
특히 내역서에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5층 5B-1 구역에서 5개" 등 구체적인 문제 배터리 위치까지 상세히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28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 소실된 리튬이온배터리가 소화 수조에 담겨 있다. 2025.9.28 / 뉴스1
이러한 명확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행정안전부는 "정기 점검을 지속적으로 해왔고, 가장 최근인 지난 6월 점검 당시,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사용 연한이 지난 배터리를 즉각 교체하지 않은 이유와 비정상적 온도 상승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더욱 의문을 자아내는 점은 화재 당시 배터리 분리 작업을 담당한 업체가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이나 유지보수 담당 업체가 아닌 제3의 업체로 파악됐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전문성과 안전 관리 측면에서 추가적인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민주당 김성회 의원은 "작년 6월 점검 결과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권고에도 불구하고 이를 방치했다"며 "경찰이 이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수사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