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 시스템 대란 발생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 중단됐습니다.
27일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을 통해 "화재의 영향으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의 급격한 가열이 우려됐고,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켰다"고 설명했습니다.
뉴스1
김 차관은 "현재는 항온항습기를 우선 복구 중이고, 이후 서버를 재가동해 복구 조치를 하려 한다"며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대국민 파급효과가 큰 주요 정부 서비스 장애부터 신속히 복구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26일 오후 8시 15분경 시작된 화재는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는 작업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초기 대응에 10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정부는 위기경보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하고,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했습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9.27 / 뉴스1
정부는 시스템 장애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했습니다.
정보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정보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수기 접수 처리 체계와 대체 사이트 안내 등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민원처리 지연으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도래하는 세금 납부나 서류 제출 기한을 정상화 이후로 연장하도록 유관기관에 안내하고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26일 오후 8시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불은 5층 전산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 전산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온라인 서비스 70개가 마비됐다. 2025.9.27 / 뉴스1
김 차관은 "정부서비스 장애 발생을 미처 알지 못해 당황하시는 일이 없도록 국민신문고 등 주요 정부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재난문자를 발송했다"며, 관공서 방문 전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어 "민원이나 서비스를 신청할 경우 해당기관의 안내에 따라 대체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오프라인 창구를 활용하고, 구체적인 정부서비스 장애 상황과 대체사이트는 네이버 공지를 통해서 확인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