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에 얼룩말 무늬를 그려 파리 감소 효과 입증한 일본 연구진
일본의 한 연구팀이 소에 얼룩말 무늬를 그리면 파리가 덜 달라붙는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해 이그노벨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연구는 가축 관리와 해충 방제 분야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NHK World
21일 일본 매체 NHK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일본 농업·식품산업기술종합연구기구(JAIFRA)의 고지마 도모키 연구팀은 '얼룩말 무늬가 흡혈 파리를 막는다'는 기존 연구에서 영감을 받아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연구는 지난 18일 제35회 생물학 부문 이그노벨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그노벨상은 일반적으로 '괴짜 노벨상'으로 불리며, 처음에는 웃기지만 생각해보면 의미 있는 연구에 수여되는 상입니다.
연구진은 실험을 위해 일본 흑소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관찰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폭 4~5㎝ 간격으로 흰색 스프레이를 뿌려 얼룩말 무늬를 만든 소, 두 번째 그룹은 검은색 줄무늬를 그린 소, 세 번째 그룹은 아무 줄무늬도 칠하지 않은 소로 구성했습니다.
이후 30분간 각 그룹을 관찰한 결과가 놀라웠습니다.
고지마 도모키 연구진 / NHK World
얼룩말 무늬의 놀라운 효과와 향후 활용 가능성
관찰 결과는 매우 명확했습니다. 아무 줄무늬도 칠하지 않은 흑소에는 평균 128마리의 흡혈 곤충이 달라붙었고, 검은색 줄무늬를 그린 소에는 평균 111마리가 붙었습니다.
반면, 흰색 줄무늬를 그린 소에는 평균 55마리만 붙어 파리의 수가 절반 이상 감소했습니다. 또한, 흰색 줄무늬를 그린 소는 머리를 흔들거나 발을 구르는 등 파리를 쫓는 행동도 다른 소에 비해 약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단순히 흥미로운 현상을 넘어 실질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연구진은 이 방법이 소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살충제 사용량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감염병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환경 친화적인 해충 방제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편, 이번 수상으로 일본은 19년 연속 이그노벨상 수상 기록을 이어가게 되었습니다.
지난해에는 도쿄과학대 연구진이 '포유류는 항문으로 호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 생물학상을 받은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