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진공상태' 돌입...3단계 방어선 구축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 경찰이 0시를 기해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했다. 이는 경찰력의 100% 동원이 가능한 최고 수위 비상 체제로, 현재 헌법재판소 인근은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불상사를 원천 차단하겠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상황을 교훈 삼아 사전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갑호비상이 발령되면 경찰은 연가를 포함한 모든 휴가가 중지되고, 전 인력이 즉시 출동 가능한 비상 근무 체제로 전환된다.
뉴스1
이번 조치는 헌재 선고 직후 집회 현장에서의 충돌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조치다. 실제로 경찰은 이날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중 210개 부대, 약 1만4000명을 서울 시내 곳곳에 집중 배치한다.
차단선부터 완충지대까지...3단계 겹겹이 방어선
경찰은 이미 지난 2일부터 헌재 주변에 대해 특별 관리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반경 100m를 중심으로 통제선을 설정할 예정이었지만, 돌발 상황에 대비해 150m까지 확장해 차단선을 구축했다. 사실상 일반인의 출입이 어려운 '진공상태'를 만든 것이다.
상황이 악화될 경우, 차단 구역은 반경 300m까지 확대된다. 경찰은 이 지역에 차벽을 설치하고, 안국역 일대를 중심으로 탄핵 찬반 세력이 맞부딪히는 것을 막기 위한 '완충구역'도 형성할 계획이다.
뉴스1
서울 도심 전체도 특별경계구역으로 지정됐다. 광화문·종로·을지로 등 주요 밀집 지역에 총경급 경찰관 8명이 투입돼 '책임 치안'을 맡는다. 이 지역에는 경찰 1500명이 분산 배치되며, 각 순찰차에는 분신 자해에 대비한 소화포 194개와 경찰 1인당 개인용 소화기가 지급된다.
폭력 시위 대비, 유튜버 모니터링까지 강화
경찰은 이날 헌재 재판관에 대한 신변 보호도 강화한다. 전담 경호팀을 추가 투입해 철통 경계를 이어가는 동시에, 취재진 보호를 위한 별도 대응팀도 가동한다.
뉴스1
폭력 집회, 헌재 난입 등의 상황에 대비한 모니터링도 강화됐다. 경찰은 "일부 유튜버의 실시간 방송을 통해 불법 행위를 선동하거나 상황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어 실시간 감시를 진행 중"이라며 "위법 사항 발생 시 즉시 제지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경찰의 대응은 2017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당시의 참사를 반면교사 삼아 설계됐다. 당시 탄핵이 인용된 직후, 탄핵 반대 집회는 순식간에 폭력 시위로 격화됐다. 격분한 지지자들이 경찰 기동대원에게 돌진하는 등 통제 불능의 상황이 펼쳐졌고, 결국 경찰은 세 차례 해산 명령을 내린 뒤에야 7시간 40분 만에 현장을 수습할 수 있었다. 그날 시위 현장에서 무려 4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벌어졌다.
경찰은 이번에는 그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원칙 아래, 헌재 선고 이후 급변할 수 있는 현장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