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한덕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결과에 대해 승복을 주문했다.
2일 오전 8시 30분 한 권한대행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치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어떤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법치주의 원칙에 따라 결과를 차분하고 냉정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앞서 전날(1일) 헌재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재동 헌재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 기일을 연다고 공지했다.
한 대행은 "이제 헌재의 시간을 지나 국민의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 / 뉴스1
한 권한대행이 정치권을 향해 "과도한 대립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기보다 공동체의 안정과 생존을 우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분열과 갈등을 부추기기보다는 사회 통합에 기여하는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달라는 것이다.
정부는 이날 탄핵 선고 당일 헌법재판소 주변에서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치안 태세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대규모 집회와 맞불 시위로 인한 충돌 가능성을 고려한 조치다.
헌법재판소 / 뉴스1
이번 탄핵과 관련해 정부가 치안관계장관회의를 연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경찰은 선고 전날인 3일 오전 9시부터 비상근무에 들어간다. 선고 당일인 4일 자정부터는 가장 높은 단계인 갑호 비상이 발령된다. 경찰청은 가용 인력을 전면 투입하고,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으로 강력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헌재 일대뿐 아니라 도심 전역에서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과 권역대응팀을 운용해 치안 공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집회가 예정된 지역 인근 지하철역에 현장상황관리관을 배치한다. 인파가 급증할 경우에는 열차 무정차 통과나 출입구 폐쇄 등의 조치도 병행한다. 서울지하철 7호선 광화문역, 1호선 시청역과 종각역, 3호선 종로3가역과 경복궁역 등이 대상이다.
사진=인사이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 대란을 막기 위한 대비에 나선다. 밀집 인파가 예상되는 지역에 이동기지국을 추가 설치하고, 인터넷 트래픽 폭증에 대비해 서버 자원도 확충한다.
법무부는 탄핵 선고 당일 불법 시위 발생에 대비해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한다. 소방청 역시 응급상황 대응을 위한 상황대책반을 운영한다.
정부는 이번 조치들이 정치적 갈등이 물리적 충돌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며, 국민의 자제와 협조를 거듭 요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