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에 피의자 신분 소환 통보... 전 사위 특혜 채용 의혹
검찰이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전 사위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해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통보했다. 이는 뇌물수수 혐의에 대한 수사의 일환으로, 정치권에서는 여야 간 첨예한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2018년 문 전 대통령의 전 사위 서모 씨가 민주당 이상직 전 의원이 창업한 타이이스타젯에 임원으로 채용된 사건을 수사 중이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이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으로 임명된 것과 서 씨의 채용 사이에 대가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특히 타이이스타젯이 서 씨에게 지급한 급여 등 2억 2,000여만 원을 문 전 대통령에 대한 뇌물 성격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해 왔다.
뉴스1
여야, 소환 통보 놓고 정면 충돌
이번 소환 통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은 "무리한 표적 수사의 전형이자, 끝이 보이는 윤석열 정권 최후의 발악"이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특히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전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무도한 정치탄압 칼춤의 결말은 그 칼을 휘두른 이들에 대한 단죄가 될 것"이라며 "지금 당장 정치탄압 수사는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번 수사를 옹호하는 입장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검찰 수사는) 법과 원칙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알고 있고, 소환한 것이 사실이라면 검찰에서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대통령 사위가 아니었다면 있을 수 없는 '특혜 채용'이었다"며 "전직 대통령이란 이유로 법 위에 군림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뉴스1
문 전 대통령 측 "근거 없는 의혹... 일체 관여한 사실 없어"
이에 대해 문 전 대통령 측은 전 사위 특혜 채용 자체가 근거 없는 의혹 제기이며 일체 관여한 사실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문 전 대통령이 실제 소환에 응할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검찰은 현재 문 전 대통령 변호인단과 조사 방식과 일정 등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전직 대통령에 대한 소환 조사인 만큼 조사 방식과 장소 등을 두고 양측의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소환 통보는 2022년 5월 퇴임 이후 문 전 대통령에 대한 첫 피의자 신분 소환으로, 향후 수사 진행 과정과 문 전 대통령의 대응이 주목된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