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번지는 대형 산불...복구는 어쩌나
전국에서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산림을 포함한 천연기념물 등 국가유산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지난 25일 국가유산청은 전국에 국가유산 재난 국가위기 경보 4단계 중 가장 높은 '심각'을 발령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과거 화재로 타버린 산을 되살린 참신한 방법이 회자되며 대형 산불로 파괴된 숲 등 생태계가 무너진 것을 걱정하던 누리꾼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YouTube 'CGTN America'
지난 2017년 6월 프랑스 AFP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칠레는 당시 역사상 최악의 산불로 45만 7,000ha에 달하는면적이 모조리 타버렸다.
이는 제주도 면적 1,847㎢의 약 2.5배에 해당한다.
선뜻 복구를 시작하기에는 너무 넓었기에 칠레 정부는 고민에 빠졌다.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어려운 문제를 썸머(Summer), 올리비아(Olivia), 다스(Das)라는 이름의 보더콜리가 해결했다.
YouTube 'CGTN America'
방법은 간단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보더콜리들에게 씨앗이 든 가방을 메게 한 뒤, 지퍼를 연 채로 마음껏 뛰어놀게 했다.
씨앗 가방을 멘 보더콜리의 질주는 6개월간 이어졌다.
당시 AFP의 보도에 따르면 "장애인 보조견 훈련사인 프랜시스카 토레스(Francisca Torres)가 세 마리의 암컷 보더콜리를 데리고 숲 되살리기에 나섰다"고 전했다.
이어 "그녀가 세 마리의 보더콜리에 씨앗이 들어있는 조끼를 입히고 잿더미로 변한 숲 곳곳을 누비고 다녔다"고 설명했다.
산책도 하고 산림도 복원하고
YouTube 'CGTN America'
이로부터 세 달가량 지나자 보더콜리들이 지나간 길에 푸른 잔디들이 자라기 시작했다.
보더콜리의 행복과 산림 회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었던 사례다.
과거 양치기 개로 활용됐을 만큼 보더콜리는 태생적으로 에너지가 넘치기에, 녀석을 입양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강한 체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그만큼 녀석들은 산을 돌아다니며 씨앗을 뿌리는 데 적임자였다.
26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 인근 등운산 일대에 화마의 흔적이 보이고 있다. 2025.3.26 / 뉴스1
국내서도 2020년 화재로 타버린 축구장 2천 6백 개 넓이의 안동 산림을 복구할 때 칠레의 사례를 참고한 적이 있다.
'산타독'으로 불렸던 반려견들은 옆구리에 안동의 특산물인 더덕 씨앗 주머니를 차고 산 구석구석을 힘차게 뛰어다니며 재가 된 숲에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
당시 해당 봉사에 참여하는 반려견 숫자가 적어 즉각적인 효과를 보지는 못했지만, 반려견들이 자연에서 마음껏 뛰어놀게 하고 환경까지 챙길 수 있는 이색 행사로 눈길을 끌었다.
이때 누리꾼들은 "산타독이라니 너무 훈훈하고 귀엽다",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참여했으면", "씨앗 뿌리다가 반려견들이 다치지 않길 바란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