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키웠다는 지적 받는 '콘크리트 둔덕'...관리 책임은 국토부에
뉴스1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179명의 시신이 모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이제 남은 것은 이 참혹한 사고가 왜 벌어진 것인지,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일이다. 원인을 철저하게 밝힐 일만 남은 것인데, 이 조사의 대상이 돼야 할 국토교통부가 되레 조사를 주도하고 있어 논란이 불거졌다.
지난 6일 정부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에 소속된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23명 규모로 한미 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합동조사단이 현장 조사를 마무리해 보고서를 올리면 사조위는 해당 보고서를 심의·의결한다. 이를 두고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조사의 적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참사를 키운 것으로 강하게 지적되는 것이 바로 '콘크리트 둔덕'이고, 이 콘크리트 둔덕의 관리 책임이 국토부에 있기 때문이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엿새째인 3일 오후 전남 무안국제공항 참사 현장에서 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 둔덕에 파묻힌 제주항공 7C2216편의 엔진이 크레인으로 옮겨지고 있다. / 뉴스1
조사 받아야 할 국토부가 도리어 '조사 주도' 논란
새떼가 자주 출몰하는 곳인 만큼 국토부의 무안공항 입지 선정 과정도 논란이 될 수 있어 문제 제기는 더욱 거센 상황이다.
유가족들은 "조사에 있어 중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라는 입장이다.
12명으로 구성된 사조위에서 핵심 중 핵심인 위원장·상임위원이 모두 국토부 관계자라는 점을 유족들은 지적하고 있다.
국토부는 합동조사단에 민간·해외 전문가가 참여한 점을 언급하면서도 유족들의 의견을 고려해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