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캡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신호등이 시범 운행 중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우리나라에 생긴다는 신호등'이란 제목으로 천안에 도입된 '잔여시간 표시장치' 신호등 사진이 눈길을 끌고 있다.
잔여시간 표시장치는 지난 2022년 말 대통령실에서 정책 과제로 선정한 사업 중 하나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말부터 의정부와 대구 달성군, 충남 천안 3곳에서 잔여시간 표시장치를 단 신호등을 시범 운행 중이다.
인스타그램 캡처
과속을 유도하고 예측 출발 강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 경찰청은 시범 운행 뒤 확대실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러한 형태의 신호등은 중국이나 대만, 베트남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애초 과속과 꼬리물기, 예측 출발 등을 예방하기 위해 도입됐으며 황색 신호에서 적색 신호로 바뀌는 바람에 교차로 한가운데에 애매하게 정차하는 위험한 상황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베트남의 경우 이륜차와 삼륜차가 많아 교통정체가 심한데, 타이머가 설치된 신호등을 도입해 교통정체 해소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다만 해당 신호 체계가 도입될 경우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실제 중국에서는 잔여 시간 표시장치를 도입했다가 철거하기도 했다.
신호등의 잔여 시간이 5초 남짓 남았을 경우 빨리 지나가려는 운전자들이 속도를 더 높일 수 있어 사고에 취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해당 체계가 일부 개발도상국이나 중국 등 교통질서가 어지러운 환경에서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이미 국내처럼 교통 법규를 비교적 잘 지키는 국가에서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상반기 효과 분석 결과가 나오면 경찰청 교통안전심의위원회를 거쳐 도입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